폭발적인 잠재력 베트남, 신흥 금융 시장으로 급부상
2017-06-07 14:42
통상 숙련된 노동력 확대는 산업 자본을 끌어들이는 주요 요인이다. 산업 시설의 확대는 개별 주체들의 소득증대로 이어지고, 이는 금융의 수요를 발생시킨다. 금융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금융사들이 베트남으로 눈을 돌린 이유다.
5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베트남의 면적은 약 33만 966.9㎢에 달한다. 한반도의 약 1.5배인 셈이다. 전체 인구는 지난 2015년 기준 9173만명이며 수도는 하노이다. 중소국이면서 문맹률이 낮고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면에서 과거 성장기의 한국과 흡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베트남이 산업과 금융의 잠재적인 기대주로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막대한 생산가능인구에 있다. 생산가능인구 비중의 지속적 증가하면 소비성향이 높은 소비계층도 늘어나 내수시장이 성장하기 마련이다. 베트남의 총인구 대비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중은 현재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오는 2025년까지 점진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우리나라와의 교역은 지난 2016년 상반기 기준 베트남 수출 규모는 151억7800만 달러로 약 17조 2800억원에 달해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베트남에 진출하는 국내 기업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기준 베트남 진출 기업은 약 5000개에 이른다.
폭발적인 고성장과 풍부한 노동력, 생산가능인구의 증가는 전 세계 각국의 금융회사들을 끌어들일 만한 요소다. 제조업으로 응축한 자본을 어떤 방식으로 관리하고 재분배할 것인지 고민하는 단계에서 금융은 핵심적인 부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베트남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 때문에 달러화 및 실물자산에 대한 맹신과 그로 인한 금융기관에 대한 불신 등의 과제가 남아 있다는 점이다.
불과 100여년 전 사이에 프랑스와 중국, 미국 등 강대국과 전쟁을 치른 역사 탓에 베트남인들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다. 전쟁 중 살아남기 위한 과정에서 체득한 본능적인 자산관리 기술인 셈이다. 그러나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단계적 도약을 위해선 금융 발전이 불가피하고, 결국 정부 주도의 금융시스템 안착이 최대 과제로 다가왔다.
전문가들은 베트남 금융의 발전을 위해선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신축적인 통화환율정책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5년 간 베트남 중앙은행(SBV)은 기준금리인 재대출금리(Refinancing rate)를 신축적으로 조정하는 등 적절한 통화정책을 통해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물가상승률을 안정적으로 관리했다는 평이다. 물가상승률은 △2011년 14% △2012년 10% △2013년 7% △2014년 6.5% 등으로 하향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 SBV는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13년, 2014년 6월 동화 가치를 각각 1% 평가절하하는 조치를 취했다. 지난 2015년에도 세 차례에 걸쳐 총 3% 평가절하를 단행했다.
대외적인 변수에서의 대표적인 악재로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의 공적개발원조(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중단 계획을 들 수 있다. 세계은행은 지난 2010년 베트남을 하위소득 국가에서 중간하위소득 국가로 격상한 이후 베트남에 대한 ODA 지원규모를 지속적으로 줄였다. 베트남은 대외차관 대부분을 사회간접자본 개발에 쓰는 만큼 ODA 감소에 따라 베트남 정부의 재정 건전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영기업 부문과 은행산업의 부실화로 인한 경제 구조 및 정책의 불확실성이 상존한다는 부분도 악재로 지적된다. 베트남은 국영기업의 은행소유 허용과 은행 간 지분교차 보유 등 제도적 허점으로 국영기업과 은행산업이 동시에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국영기업 개혁을 위해 국영기업의 지분 매각 및 은행산업의 구조조정 시행에 착수했다. 그러나 복잡한 승인절차와 제한적 매각규모에 따른 국영기업의 구조조정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며 은행권 건전성 제고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 게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