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덜먹는다] 음주량 OECD 중하위권으로…위스키 판매량 반토막
2017-05-29 06:11
(서울=연합뉴스) 정열 기자 = 경기침체에 따른 사회 분위기 변화와 달라진 직장 내 회식 문화 등의 영향으로 주류 산업이 위축되고 있다.
한국은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손꼽히는 '음주 대국'이었으나 최근에는 중하위권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OECD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15세 이상 인구의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8.9ℓ로, OECD 34개 회원국 중 22위를 차지했다.
1위는 12.2ℓ를 마신 것으로 집계된 오스트리아였다.
하지만 군사독재 시절의 강압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음주 문화가 사회 전체를 지배하던 1980년도 한국의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전체 OECD 회원국 중 8위인 14.8ℓ였다.
33년 만에 국민 1인당 연간 5.9ℓ의 술을 덜 마시게 된 것이다.
2015년 한국의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10.9ℓ로 전년보다 조금 증가해 순위도 14위로 올랐지만 여전히 1위인 체코의 14.1ℓ, 2위인 호주의 12.6ℓ와는 각각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런 추세는 이른바 '2차 술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 주종인 위스키 판매량에서 두드러진다.
2008년에 284만 상자(1상자는 500㎖×18병)로 정점을 찍었던 국내 위스키 판매량은 지난해에는 167만 상자까지 떨어지면서 8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경기침체 장기화와 음주문화 변화의 여파로 2~3차까지 이어지는 회식 문화가 크게 줄어든 데다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청탁금지법의 영향까지 겹쳐 룸살롱 등 유흥업소에서의 질펀한 술자리와 접대 문화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시장 위축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페르노리카코리아는 지난해 프랑스 출신 사장 등 핵심 임원들이 대거 물갈이됐고 위스키 업체 중에서는 처음으로 사옥을 강남에서 강북으로 옮기는 변화를 꾀하기도 했다.
프랑스계 다국적 위스키 업체로 임페리얼, 발렌타인 등을 생산하는 페르노리카는 1992년 국내 시장 진출 이후 줄곧 디아지오와 1, 2위를 다퉈왔으나 위스키 시장 침체의 직격탄을 맞았다.
직장내 폭탄주 문화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면서 '양폭'(양주와 맥주를 섞은 폭탄주)의 한 축이던 맥주 판매량도 부진하다.
과당경쟁을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국내 주류업계가 수년 전부터 판매량 통계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대표적 맥주회사인 하이트진로의 지난해 맥주사업부 매출은 8천27억원으로 2013년의 9천162억원에 비해 12.4%나 감소했다.
이 여파로 하이트진로는 최근 5년 만에 전 사원을 대상으로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하기도 했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20~3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손꼽히는 음주 국가였으나 지금은 1인당 음주량이 OECD 평균에도 못 미칠 정도가 됐다"며 "이런 추세는 앞으로 더욱 가속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국산 맥주의 매출 부진은 직장 내 회식이나 2차 술자리 등이 점점 사라져 가는 추세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해가 갈수록 거세지는 수입 맥주의 공세와도 무관치 않다.
종종 폭음으로 이어지기 일쑤인 단체 회식보다는 혼술·홈술을 선호하는 사회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젊은층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개성있는 맛을 자랑하는 수입 맥주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영향으로 이마트 등 주요 유통채널에서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수입 맥주 매출이 국산 맥주 매출을 넘어서기도 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 수입량은 2억2천55만ℓ로 전년보다 29%나 늘었다. 2년 전인 2014년(1억1천946만ℓ)에 비하면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과거 개인 취향과는 관계없이 회식 자리에서 천편일률적으로 대량 생산된 국산 맥주에 양주를 섞어 마시던 음주문화가 사회 분위기 변화로 각자의 개성에 따라 취향에 맞는 술을 즐기는 문화로 바뀌면서 빚어진 현상으로 풀이된다.
디아지오코리아 관계자는 "과거 한국은 다국적 주류업체의 입장에서 봤을 때 매우 큰 시장이었으나 점점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거스르기 어려운 추세인 만큼 업체 입장에서도 트렌드 변화에 맞는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passion@yna.co.kr
(끝)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