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외신, 문재인 대선 승리에 대북정책, 외교 관계 변화 주목

2017-05-09 23:56

지난 8일 오전 서울에서 열린 한 대선후보의 유세 현장을 찾은 유권자들이 사진을 찍고 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윤은숙·조용성 기자= 9일 치러진 대한민국 대선은 세계적인 관심사였다.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의 주요 언론들은 출구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압도적인 승리가 예측되자 이 소식을 긴급으로 전하면서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과 지역 안보, 외교 관계의 변화에 주목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문 후보의 승리로 한국에서 보수파의 9년 집권이 종지부를 찍게 되었고, 한국이 미국에 '노(No)'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던 인물이 권력에 오르게 되었다고 보도했다. USA투데이는 “문재인 후보가 박근혜 전 대통령과 달리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반대하는 등 대북문제에 있어 미국과 결을 달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CNN 방송은 북한의 도발로 지역적 긴장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유권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이슈는 정치 개혁과 부패 척결이라고 지적했다. 방송은 "이번 대선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게 된 첫 대선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분노를 선거를 통해 드러내고 싶어한다"고 전했다.

영국의 BBC 방송은 출구조사 결과를 전하면서 문 후보가 북한에 대해 압박과 제재를 유지하는 한편 대화를 주장해왔다면서, 이는 거의 모든 대북 관계를 중단한 박근혜 전 정권과 대조를 이룬다고 소개했다. 가디언은 "문 후보의 예상되는 승리는 북한과의 '화해(rapprochement)' 시대와 북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둘러싼 (문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합심이 가능할 것 같지 않은 상황을 예고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차기 정부는 경제성장률 둔화, 청년 실업 등을 빨리 해결해야 한다"면서 "이번 대선은 과거의 부패를 청산하고, 투명한 정부를 세우며, 민주 정치를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도 문 후보를 진보적인 인권 변호사이자 북한에 대해 온건한(moderate) 정책을 옹호하는 인물이라고 설명하며 보수 성향 경쟁자인 홍준표 후보를 가볍게 이겼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매체들도  문 후보의 방송 3사 출구조사에서 압승 소식을 긴급 보도했다.  중국 관영 CCTV는 9일 19대 대선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돼 파면된 이후 그 빈자리를 채우려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CCTV는 8일 대선 후보들이 마지막 유세를 했다면서 유세 장면을 방영한 뒤 주요 대선 후보들의 공약과 이력 등을 별도로 자세히 소개했다. 이어 한국 시민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새 대통령에 어떤 관심이 있는지를 집중 조명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방송 3사의 출구조사 결과 발표 5분 뒤 긴급기사를 통해 "문재인 후보가 방송사 출구조사에서 큰 차이로 앞섰다"고 보도했다.

중국 언론 매체들은 한국의 차기 대통령은 한·중 및 남북 관계 개선, 경제 활성화가 급선무가 될 것으로 봤다. 환구망 등은 차기 대통령이 남북 관계 및 한·중 관계 개선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들 매체는 대선 후보들의 사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전하고, 사드 논란의 향배에 주목했다. 아울러 차기 대통령은 경제 활성화와 취업 여건 개선, 부정부패 척결 등 산적한 현안도 떠안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뤼차오(呂超)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연구원은 9일 관영 글로벌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차기 대통령에게 "중·한관계 개선은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뤼 연구원은 "한국과 중국의 무역량은 미국과 일본의 무역량을 합한 것보다 많다"며 "한국은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냉각된 뒤 이미 상실감을 느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일본 언론매체들도 출국조사 결과가 나오자 긴급뉴스를 통해 관련 소식을 신속하게 전했다. NHK는 이날 출구조사 발표 10분 후인 오후 8시 10분께 생방송 음악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뉴스 속보를 전했다.

 NHK 방송은 이번 대선의 "주요 후보들이 모두 한·일 위안부 합의를 비판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양국의 관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한국은 현재 대통령의 부재가 2개월 가까이 이어졌다"면서 "지난 4월 북한의 도발로 지역적 긴장이 높아진 뒤에 대선 이슈에서 경제보다는 안보와 관련된 논의가 주를 이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