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항공정비(MRO) 사업 '장미대선' 이후 꽃 피운다
2017-05-07 18:32
3년째 총선·국정공백에 밀린 MRO 사업 탄력 기대감↑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3년째 지지부진하던 항공정비(MRO) 전문업체 선정이 ‘장미 대선’ 이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항공정비 단지가 들어서면 국내 항공사들이 해외에서 소비하는 연간 1조원 규모의 정비료를 국내에서 소화할 수 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선 주자들 모두 경남 사천을 항공우주산업 특화도시로 삼아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사천항공우주산업 특화단지 조성과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항공ICT(정보통신기술)융합클러스터 조성을,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항공산업기지 육성을 주장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항공 MRO 사업 사천 유치를,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항공 원천기술 확보로 항공산업 고도화 등을 내세웠다.
대선주자들이 항공산업에 공통적으로 관심을 갖는 만큼 관련업계는 가장 현안인 MRO 사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MRO 사업을 준비하는 곳은 경상남도와 경남 사천에 본사와 생산 공장이 위치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다. 총 사업비 7000억원가량을 들여 경남 사천시 본사 인근에 31만m² 규모 MRO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KAI 관계자는 “국내 MRO산업 규모가 약 3조5000억원(군 2조원, 민수 1조5000억원)에 달한다”며 “KAI는 군용기 정비 등으로 기술력은 갖췄기에 국내 항공사 등 민수 물량만 확보된다면 사업은 탄탄대로”라고 강조했다.
KAI는 지난달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과 신사업 발굴을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KAI는 국내 LCC 업체 물량 확보에 성공해 사업성을 키웠으며 제주항공은 항공기 정비 효율화와 더불어 조종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훈련 체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서 정부가 2015년 1월 MRO 사업자 선정을 공고했지만, 3년째 업체 선정이 늦어졌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충북도(청주시)-아시아나항공과 경남도(사천시)-KAI 양자 대결로 국회의원들이 투자 유치를 약속하며 정쟁화되기도 했다.
이후 아시아나항공이 MRO 사업 포기를 선언하면서 KAI가 선정될 것으로 점쳐졌으나 국정공백이 이어지면서 차일피일 미뤄졌다.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국내 항공사들이다.
LCC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의 비행기 대수는 100여대이고 계속 증가하는 추세”라며 “국내에서 정비를 맡기고 싶어도 전문업체가 없어 중국, 몽골, 싱가포르 등 해외로 가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LCC 입장에서는 정비를 위해 빈 비행기로 해외에 나갔다가 돌아오는 등 정비 시간과 유류비를 단축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국내에 전문 업체가 설립되면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MRO 사업계획의 타당성 검토 및 평가를 7월 말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 MRO 사업자 선정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종료될 수 있도록 관련 업무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선 주자들 모두 경남 사천을 항공우주산업 특화도시로 삼아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사천항공우주산업 특화단지 조성과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대선공약으로 내세웠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항공ICT(정보통신기술)융합클러스터 조성을,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항공산업기지 육성을 주장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항공 MRO 사업 사천 유치를,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항공 원천기술 확보로 항공산업 고도화 등을 내세웠다.
대선주자들이 항공산업에 공통적으로 관심을 갖는 만큼 관련업계는 가장 현안인 MRO 사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MRO 사업을 준비하는 곳은 경상남도와 경남 사천에 본사와 생산 공장이 위치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다. 총 사업비 7000억원가량을 들여 경남 사천시 본사 인근에 31만m² 규모 MRO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KAI 관계자는 “국내 MRO산업 규모가 약 3조5000억원(군 2조원, 민수 1조5000억원)에 달한다”며 “KAI는 군용기 정비 등으로 기술력은 갖췄기에 국내 항공사 등 민수 물량만 확보된다면 사업은 탄탄대로”라고 강조했다.
KAI는 지난달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과 신사업 발굴을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KAI는 국내 LCC 업체 물량 확보에 성공해 사업성을 키웠으며 제주항공은 항공기 정비 효율화와 더불어 조종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훈련 체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서 정부가 2015년 1월 MRO 사업자 선정을 공고했지만, 3년째 업체 선정이 늦어졌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충북도(청주시)-아시아나항공과 경남도(사천시)-KAI 양자 대결로 국회의원들이 투자 유치를 약속하며 정쟁화되기도 했다.
이후 아시아나항공이 MRO 사업 포기를 선언하면서 KAI가 선정될 것으로 점쳐졌으나 국정공백이 이어지면서 차일피일 미뤄졌다.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국내 항공사들이다.
LCC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의 비행기 대수는 100여대이고 계속 증가하는 추세”라며 “국내에서 정비를 맡기고 싶어도 전문업체가 없어 중국, 몽골, 싱가포르 등 해외로 가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LCC 입장에서는 정비를 위해 빈 비행기로 해외에 나갔다가 돌아오는 등 정비 시간과 유류비를 단축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국내에 전문 업체가 설립되면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MRO 사업계획의 타당성 검토 및 평가를 7월 말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 MRO 사업자 선정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종료될 수 있도록 관련 업무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