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TV토론] 문재인·안철수, 5G 이동통신망 국유화 놓고 설전

2017-05-02 21:15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본관에서 열린 KBS 주최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토론 준비를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2일 마지막 TV토론에서 5G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의 국유화 논란을 놓고 공방전을 펼쳤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최 3차 TV토론회에서 문 후보가 5G 이동통신망 국가에서 책임지겠다고 한 데 대해 “예산이 수십조 원이 드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문 후보는 “국가가 전액 투자할 것이라고 한 적 없다”라며 “통신망을 국유화할 생각이 없다”고 받아쳤다.

그러자 안 후보는 ‘언제 5G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냐. 아직 5G 휴대폰도 개발 안 됐다. 어떻게 통신망을 깔 수 있느냐’라고 묻자, 문 후보는 “어쨌든 빨리하겠다. 민간에게만 맡길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 후보는 안 후보의 거듭된 질문에 “김대중 대통령도 초고속인터넷망을 깔았다”고 응수했다. 안 후보는 “당시에는 (초고속인터넷망이) 표준화됐던 시기다. 지금은 (5G) 표준화가 안 됐다. 전혀 다르다”고 꼬집었다.

앞서 문 후보는 복지 공약에 관한 사회자 질문에 “생애 맞춤형 기본소득보장제를 실시하겠다”라며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높이고 사각지대를 해소해 노후소득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는 “4차 산업혁명은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다. 어떻게 하면 이것을 피할 수 있지 않다”며 “교육에 대해서는 공교육을 강화해 정말 창의적 인재들을 기르고 사교육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만 기회의 사다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