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TV토론] 사드배치 비용 놓고 공방···文, 沈 찬성 측에 맹공

2017-04-28 22:33

더불어민주당 문재인(왼쪽부터), 정의당 심상정, 바른정당 유승민, 국민의당 안철수,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들이 28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스튜디오에서 선거관리위원회 주최로 열린 생방송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주경제 이정주 기자 = 28일 열린 대선후보 5차 TV토론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배치 비용 논란을 두고 공방전이 벌어졌다.

문재인 민주당,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우리 정부가 비용을 부담하는 데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사드배치 자체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사드배치 찬성 입장을 표명했던 안철수 국민의당, 홍준표 자유한국당,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자체가 협상용 카드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이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주한미군 사드를 유지하는 비용 10억달러를 우리 정부가 부담해야 한다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문 후보는 "10억달러면 우리 돈으로 1조1000억원인데 이는 막대한 재정 부담을 초래한다"며 "이 문제는 국회 비준이 필요하고 다음 정부에 넘겨서 논의할 문제"라고 말했다.

심 후보는 "유지할 비용을 못 내겠으니 사드를 도로 가져가라고 해야 당당한 대통령이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밀실협상이 있었던 것으로 의심되는데 사드 배치 시기와 비용 등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사드배치를 일찌감치 찬성한 후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진정성이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유 후보는 “사드배치는 이미 양국 간에 우리가 돈을 안내는 것으로 합의가 됐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의 카드로 질러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가 대통령이 되면 비용 부담을 하지 않게 합의하겠다”며 “유지비용에 10억달러를 낼 것 같으면 차라리 사드 한 포대를 사오지 왜 굳이 돈을 내겠냐”고 반문했다.

안 후보도 “중국과의 외교를 봐도 기존의 가정조차 트럼프 대통령은 흔들고 시작한다”며 “결과적으로 중국과도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대통령이 뽑히기 직전에 협상 카드로 사용하는 그 시도 중에 하나”라며 “국방부의 발표대로 우리가 비용을 부담할 리 없다”고 답했다.

홍 후보도 기존의 입장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사업가 출신이기 때문에 협상 전략을 쓰고 있다”며 “중국과 북핵 관련 협상을 할 때도 역시 그래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