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2030년 400만 광역 단일생활권 만든다

2017-04-20 10:36
행정구역 구분없이 40분 내 교류...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행복청장 이충재


아주경제 윤소 기자 = 행복청은 세종(행복도시) 광역권을 하나의 공동 생활권으로 묶기위한 '행복도시 2030 광역 대중교통 추진전략'을 수립 했다.

행복청 (청장 이충재)은 세계적 광역도시권 간의 경쟁이 국가 간 경쟁을 대변하는 시대에 세종(행복도시)를 중심으로 국제도시와 경쟁할 수 있도록 2030년까지 400만명 이상의 인구 및 경제 규모를 가진 공동 생활권으로 만들고 이 지역들을 40분대의 광역BRT 연결을 주축으로 한 광역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4대 추진 전략으로 첫째, 광역BRT 인프라를 구축한다.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20㎞ 반경 내외에 위치한 6대 도시 거점(오송역, 청주터미널, 과학벨트 거점 지역인 대전 신동둔곡지구, 반석역, 공주터미널, 조치원역)을 광역BRT로 20분대에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오송역, 반석역 등 대전, 세종, 청주, 공주의 주요 지점인 6대 거점에서 각 도시 내로 원활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 단축, 정류장 통합 등 환승 시설을 개선하며 또한 40㎞ 반경 내외에 위치한 청주국제공항, KTX대전역, KTX공주역, KTX천안아산역을 4대 광역교통 거점으로 하여 광역BRT로 40분대에 연결시킨다.

둘째, 광역 핵심 교통수단인 광역BRT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고급화한다. BRT 정류장은 경전철역과 같이 정류장 입구에서 요금을 먼저 내는 시스템을 도입해 빠르게 승하차가 가능토록 하고 2017년까지 3개소(도램마을, 청사 북측, 첫마을)에 신교통형 BRT 정류장을 설치하며 2020년까지 도시내부의 모든 정류장, 2030년까지는 광역권 전체 BRT 정류장에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셋째, 현재 각 행정구역별로 각기 다른 BRT 요금 체계를 통합한다. 광역권 내 거점 지역들을 연결하는 핵심 대중교통수단인 광역BRT의 기본요금체계를 단계적으로 단일화해 나가고 광역BRT를 주민들이 쉽게 이용하도록 무료 환승체계를 도입하며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정보관리(전산센터) 및 정산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넷째, 행정구역을 넘나드는 시민들의 발 역할을 하게 될 광역BRT 시스템 구축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광역대중교통 행정·운영시스템’ 구축을 모색한다.

이충재 행복청장은, “행정구역을 뛰어넘어 생활권 중심의 노선 설치·운영 등 행복도시 맞춤형 광역BRT 제도를 검토하고 각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BRT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를 전담하는 행정 및 운영시스템의 필요성을 행복도시 광역교통협의회에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