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75%, 시간선택제 채용 '0'...여전히 ‘그림의 떡’

2017-04-03 14:19
정부, 2018년까지 모든 기관에 도입...달성 불가능

시간선택제 채용 '0명' 공공기관 추이[자료=알리오]


아주경제 원승일 기자 =지난해 공공기관 4곳 중 1곳은 '시간선택제' 채용을 한 건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간선택제로 채용하는 공공기관 수도 1년 전보다 줄었다.

공공기관이 유연근무제 정착을 선도해야 한다는 취지로 내년까지 모든 기관에 시간선택제를 도입하겠다는 정부 계획도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졌다.

3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342곳 중 257곳(75%)은 비정규직을 제외한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이 한 명도 없었다.

시간선택제는 육아·간병 등을 이유로 시간을 단축해 근무하는 제도다. 취업할 때부터 시간선택제로 근무하는 '채용형'과 전일제 근로에서 시간선택제로 바꾸는 '전환형' 등이 해당된다.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이 한 곳도 없는 공공기관은 2013년 308곳, 2014년 252곳, 2015년 245곳으로 줄어들다 지난해 257곳으로 다시 증가했다.

이 중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비정규직 제외)이 하나도 없는 기관 수는 2014년 232곳에서 2015년 221곳, 2016년 214곳으로 감소 추세지만, 여전히 도입률은 50%가 안 된다.

정부는 2018년까지 모든 공공기관에 시간선택제를 도입한다고 밝혔지만 실현 가능성이 희박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공공기관의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도 1787명으로 전년(2110명)보다 323명 줄었다. 이는 한국철도공사가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를 806명에서 150명으로 대폭 줄인 것이 영향을 줬다.

전체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도 비정규직을 포함하면 매년 감소하고 있다.

정부는 2013년 시간선택제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공공기관이 비정규직보다 정규직·무기계약직을 시간선택제로 채용하면 경영 평가에 더 높은 점수를 주기로 했다.

이후 공공기관들이 정규직 채용을 늘리기보다 비정규직을 더 많이 줄이면서 시간선택제 채용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비정규직을 포함한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는 2014년 6417명, 2015년 5525명, 2016년 5481명 등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비정규직을 포함한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도 2014년 1033명에서 2015년 2197명으로 큰 폭으로 늘어났지만 지난해 다시 1933명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