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창] AI·로봇시대 일자리 부족…공존의 해법 찾아라

2017-03-21 08:26

[김진오 IT중소기업부장]

알파고 이후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미래에는 일자리가 급감할 것이라는 암울한 관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칼 베네딕트 프레이, 마이클 오스본 교수는 2013년 700여개의 직업을 분석해 ‘고용의 미래: 우리의 일자리는 컴퓨터화에 얼마나 민감한가’라는 충격적인 보고서를 발표했다.

두 사람은 미국의 702개 직업 가운데 향후 20년 안에 47%가 컴퓨터나 로봇 등에 일자리를 빼앗길 위험이 크다고 내다봤다. 또 고위험 직업군에 속하는 일자리는 10년에서 20년 안에 자동화돼 컴퓨터와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직업군 가운데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사라질 직업 1위는 텔레마케터이고, 화물·운송 중개인, 시계 수선공, 보험 손해사정사도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으로 분류됐다. 그중에는 의사·판사·변호사·약사 등 우리가 선망하는 일자리도 포함되며, 요리사가 사라질 확률은 무려 96%에 달했다. 머지않은 시간 내에 많은 식당의 주방을 로봇 요리사가 점령할 것이라는 얘기다.

응시생만 매년 1만명이 넘는 최고의 인기 직업인 회계사도 사라질 확률이 94%로 나타났다. 실제로 최근 회계 업무의 상당 부분이 자동화되는 추세다. 미용사와 아나운서도 각각 80%, 72%로 컴퓨터화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직군에 속했다.

이 보고서가 아니더라도 기술 발달로 이미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는 일자리는 주변에서 쉽게 발견된다. 지하철에서 항상 만날 수 있는 매표원은 교통카드의 등장으로 매표소가 폐쇄되면서 2009년 완전히 없어졌다.

톨게이트 징수원 역시 고속도로에 하이패스가 도입되면서 계속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이미 일자리 소멸은 분야를 가리지 않고 현재 진행 중이다. 흔히 사람만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창조적인 업무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SK(주) C&C는 최근 대전 건양대학교병원과 AI 기능을 도입한 ‘Aibril(에이브릴)'을 통해 병원 내 모든 의료 정보가 환자와 의사를 위해 움직이는 맞춤형 인공지능 의료 도우미 서비스를 선보이기로 했다. 환자들은 에이브릴과 채팅 혹은 대화를 통해 병원 예약은 물론 질병 검진을 위한 사전 주의사항 등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 받게 된다. 진료 후에도 에이브릴과 대화하며 병원진료기록과 자신이 입력한 건강검진기록, 생활습관 등을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며 암 등 각종 질병 발생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100엔 스시집으로 유명한 일본의 회전초밥 체인점 '구라스시' 도쿄점에는 하루 700명이 넘는 손님이 찾아오지만 직원은 몇 명 되지 않는다. 모두 자동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손님들은 직원을 호출할 필요 없이 테이블마다 비치된 터치 패드로 초밥을 주문한다. 주문하고 2분이 채 되기 전에 고속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초밥이 자리까지 배달된다. 다 먹은 접시는 테이블 한쪽의 투입구에 넣으면 자동으로 계산되고 접시는 자동 세척, 건조과정을 거쳐 주방으로 옮겨진다. 손님에게 선택되지 않아 너무 오래 컨베이어 벨트에 있었던 초밥은 로봇 팔이 알아서 집어낸다. 접시 밑에 내장된 칩으로 시간을 체크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체인점에는 요리사가 한 명도 없다. 대신 로봇이 마치 초밥 장인처럼 손으로 밥알을 가볍게 쥐어 부드럽게 뭉치는 정교한 기술을 구현한다. 로봇은 1시간에 3600개의 초밥을 만들어 요리사보다 평균 5배나 속도가 빠르다. 심지어 점장도 없다. 중앙 컨트롤센터에서 원격매니저들이 지점에 연결된 비디오를 통해 초밥 모양이 제대로 되었는지 초밥이  컨베이어 벨트에 제대로 돌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체크한다. 이 음식점은 경기침체로 비싼 초밥집들이 고전하는 동안 일본 전역에 체인점을 360여개로 늘렸고 매출도 꾸준히 늘어 동종업계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값싸고 맛난, 질좋은 음식을 고객 입장에서 마다할 이유가 없겠지만 요리사라는 전문직이 단순 아르바이트로 교체되는 구조를 고려한다면 마냥 환영할 수만은 없는 풍경이다.

전문가들은 미래 일자리 패러다임 변화가 특정 산업이나 일부 계층의 삶이 아닌 전체의 삶을 바꾼다는 점에서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기술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을 모은다. 로봇이나 인공지능과의 경쟁이 아닌 공존을 위해 일자리 문제와 윤리·도덕·법률적 논쟁에 대해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