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사드발 중국 경제보복 ‘전화위복’되려면

2017-03-07 08:11

[유진희 산업부 기자]


아주경제 유진희 기자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마라.”

주식 투자자들의 오래된 격언이다.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 부담을 줄이라는 의미다.

그런데 최근에는 증권가가 아닌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다. 미국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의 한반도 배치 결정으로 중국의 경제보복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기업들에게 이 격언의 중요성이 새삼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기업들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중국 매출 비중에 따라 그 반응도 사뭇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A업체 관계자는 “사드발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이라며 “현지 거래처와 얘기할 때 사드 등과 관련된 얘기는 의도적으로 하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반면 중국 외에 미국, 인도, 중동,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선을 다변화한 기업들은 최근 사드와 관련한 질문에 “우리와는 관계 없다. 큰 영향도 없다”고 당당하게 얘기했다.

문제는 이같이 말할 수 있는 기업들이 우리나라에 많지 않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6.7%로 가장 높다.

앞서 우리나라와 비슷한 경험을 일본도 했다.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가 2012년 9월 센카쿠열도 국유화를 선언하면서 중·일관계는 급속히 나빠졌다. 2012년 일본 전체 대중 수출은 11조6000억엔(약 117조원)으로 전년 대비 10.8% 줄며 큰 타격을 입었다.

당시 일본 기업들은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신규 판로와 생산지 개척 등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덕분에 일본 기업들은 세계로 판로를 더욱 다양화하며 갑작스러운 위기에 맞설 수 있는 체력을 키웠다. 위기를 기회로 탈바꿈시킨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은 자국 내 고용과 소비 부진이라는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물론 애초에 한국이나 일본 정부가 정치적인 사안으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잘 처신했으면 발생하지 않았을 문제들이다. 그렇다고 기업들이 정부 탓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게다가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기업에 언제 어떤 위기가 몰아칠지 모르는 상황이다.

기업들은 이제라도 수출선 다변화 등에 나서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 아울러 정부도 한·중 간의 갈등을 조속히 마무리 짓기 위한 대응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