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추락하는 제주경제... 사드, 경기불안 등 '연동 바오젠' 썰렁

2017-03-05 18:02

한때 요커들로 발 디딤 틈 없던 바오젠 거리. "바오젠 간판까지 떼냈네" [사진=진순현 기자]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 호황을 누리던 제주경제가 ‘경고등’이 켜졌다.

국내 정치 불안, 난개발과 인구유입 둔화 가능성,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에 따른 중국 정부의 한국관광에 대한 한한령(한류 콘텐츠 금지령) 등으로 제주에 관광객이 줄어들고 경기가 위축되고있다.  제주 경제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속속 나온다.
 

[사진=진순현 기자]


◆ 사드여파 관광업계 ‘울상’... 여행업계 손실 '눈덩이'

한때 중국인관광객(유커)들로 발 디딜 틈 없었던 제주시 연동 바오젠거리는 된서리를 맞았다.

최근 바오젠거리는 주말임에도 2~3명씩 무리지어 다니는 중국인 개별 관광객(싼커)들이 간혹 보일 뿐이다. 제주의 차이나타운이라는 이름을 무색케 했다.

한 상가 업주는 “사드 여파로 중국인 손님이 뚝 끊겼다”며 “사글세, 보증금, 권리금 등 3억여원이 투자됐는데, 이 중 권리금 1억여원 투자된 것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신세”라고 토로했다. 많게는 3억~4억원 이상되는 데도 꽤 있다고 한다.
 

손님 없이 텅텅 빈 바오젠거리 상가 [사진=진순현 기자]


제주신공항이 들어서기까지 앞으로 7~8년, 항공기 결항에 따른 리스크는 제주 여행업계에 몫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한국 관광을 전면 금지했다.

중국 국가여유국이 자국 여행업계에 내린 지침은 △단체·개인 방한 상품 판매 금지 △롯데 관련 상품 판매 금지 △온라인 방한 상품 판매 금지 △크루즈 한국 경유 금지 등이다. 특히 지침을 어길 경우 엄벌에 처하겠다고 경고하는 등 사실상 '명령'과 다름없는 제재 조치를 내렸다. 유커들의 비중이 높은 제주관광은 '초비상' 사태에 직면해 있다.

최근 제주국제공항강풍과 난기류 현상으로 제주국제공항에서 항공기 결항과 지연 운항이 속출해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당시 항공기 50여 편이 결항되면서 4600여명의 발이 묶이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럴 경우 렌트카, 호텔, 골프장, 식당 등은 예약취소에 따른 손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다. 렌트카 업계에 따르면 1대당 7만~8만원, 100대를 보유한 중소업체는 하루 700만~800만원, 많게는 1000대 가량 보유한 업체인 경우 하루 7000만~8000만원의 손실을 보게 된다. 이와 함께 골프장도 지연·결항에 따른 취소 사태가 발생돼 정작 그 시간대는 손해를 감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한다.

◆ 관광호텔 포화... 짐싸는 1만여 건설 노무자

제주 관광호텔업은 난립 등으로 치열한 시장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드림타워, 신화역사공원 리조트월드 등 대규모 호텔 공사가 진행되고 가운데 2~3년내 포화상태에 이른 관광호텔은 위기설이 나오고 있다.

2016제주통계연보를 보면 2011년 호텔 68곳, 객실수 8877개 에서 2015년 호텔 162곳, 객실수 1만5010개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2015년 8월 기준 성수기 객실 수급 상황을 살펴보면 수요가 1만1500실인데 비해 3510실이 초과 공급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사드 여파에 따른 중국 한한령으로 지금의 추정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객실이 남아도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조2642억원의 수주액을 기록하며 호황을 이어가던 제주 건설 경기가 인구증가폭이 둔화되고 주택 수요가 감소하면서 주거용 건물건설도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가격 급등, 주택담보 조건 강화 등으로 인한 이주여건 악화까지 겹치면서 건설경기 침체는 더욱 심각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건설불황에 따른 노무자 1만여명도 서서히 제주를 떠날 태새여서 소비시장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부동산시장은 보합세가 지속될 것으로 업계는 전망했다. 사드여파로 중국 왕서방들은 발길을 뚝 끊었다. 2019년 이후 주택건설용지 고갈, 양도세 폭탄, 하수관, 도로폭 등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는 도시계획 개정안까지 통과될 경우엔 제주 부동산 시장은 거품을 뺀 안정세를 찾을 것이란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