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를 넘어선 융합혁명' 시대…해외 4차 산업혁명 전략은?
2017-02-05 14:00
4차 산업혁명은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작업 경쟁력을 높이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미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기업은 물론 정부도 4차 산업혁명 주요 국정과제로 삼고 착착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역시 '제조업혁신 3.0 전략','서비스업 발전 전략' 등을 내놓고 거대한 파고에 대비하고 있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표본이라 불리는 나라는 독일이다. 독일은 제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제조업 강국이다.
이미 2011년 '인더스트리 4.0'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4차 산업혁명의 선두 주자를 자처하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공장이 스스로 생산공정을 통제하고, 수리와 작업장 안전 등을 관리하는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생산 공정, 서비스, 물류까지 통합 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스마트 공장은 자동화 공장과 의미가 비슷해 보일 수 있으나, 단순히 기계가 사람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것과는 다르다. 스마트 공장은 공장내 설비가 스스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 과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린다.
실제 독일의 지멘스는 4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만든 암베르크 자동화 설비 공장을 통해 혁신을 이뤘다.
이 공장은 다양한 센서와 장비가 수집하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해 공정을 최적화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자동화 장비와 로봇,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하루 5000만개의 개별 공정을 관리, 75%의 자동화율을 달성했다. 불량률은 0.0012%에 불과하다.
미국의 경우, 빅데이터의 선두주자로 통한다. 미국은 대기업이 앞장서 빅데이터 산업 발전을 주도하는 데다, 정부 역시 '브레인 이니셔티브(Brain Initiative)' 정책을 발표하는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제너럴일렉트릭(GE)은 실리콘밸리에 소프트웨어센터를 설립하고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GE의 산업 인터넷 솔루션인 '프리딕스(Predix)'는 GE가 판매하는 엔진, 가스터빈 등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제품에 문제가 생기기 전에 해결책을 제시한다.
일본 역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에 대비, 로봇을 통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 있다.
2015년 '로봇 신전략'을 발표한 일본은 제조업 현장에서 로봇을 활용, 데이터를 축적하고 인공지능 기술까지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이 발표한 로봇 신전략에 따르면, 오는 2020년 일본의 로봇시장 규모는 2조4000억엔에 달할 전망이다.
저출산·고령화와 인프라 노후화에 대응하기 위해 로봇 활용을 서두르는 일본은 생활 지원, 간병 등 서비스용 로봇 육성을 위해 관련 예산을 지난해 600억엔에서 2020년까지 1조2000억엔(약 12조2884억원)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중국 역시 후발주자로 평가받고 있지만, 성장 속도는 선진국을 위협하고 있다. 2016년초 세계경제포럼에서 내놓은 국가별 4차 산업혁명 적응 순위에서 중국은 28위로 25위인 한국을 바짝 쫓고 있다.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 행동계화'를 국가 전략으로 삼고 세계의 하청 공장을 벗어나 로봇, AI 등에 투자를 강화해 2035년까지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을 따라잡겠다고 선언했다.
중국의 강점은 드론이다. DJI가 세계 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광저우의 이항(EHANG)은 지난해 세계 최초로 유인드론 '이항184'를 선보였다.
이항184는 탑승자가 목적지만 설정하면 스스로 최적의 경로를 탐색해 탑승자를 원하는 곳까지 데려다준다.
우리나라도 올해 스마트공장을 5000개로 늘리는 등 4차 산업혁명 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지역·업종간 연계를 통해 전 제조업을 연결하는 '클라우드형 스마트공장'은 50개 이상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991억원을 투자해 컨트롤러 등 첨단장비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보급사업과 연계해 신규 수요를 창출할 방침이다.
또 글로벌 기업과 공동 R&D, 표준 대응, 제3국 공동진출 지원 등을 통해 국내 공급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