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항공여객 1억391만명…역대 최고실적

2017-01-30 11:00
국내여객 10.5%, 국제여객 18.8%, 항공화물 7.0% 증가

2016년 항공운송시장 동향 인포그래픽. [자료=국토교통부]


아주경제 김충범 기자 = 지난 2016년 항공운송시장이 노선·운항증가와 함께 여객 및 화물운송 모두 전년대비 높은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국내여객 및 국제여객이 전년대비 각각 10.5%, 18.8% 증가했고, 항공화물이 7.0%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항공여객은 △2012년 6930만명 △2013년 7334만명 △2014년 8143만명 △2015년 8941만명 △2016년 1억391만명이었고, 항공화물은 △2012년 347만톤 △2013년 350만톤 △2014년 369만톤 △2015년 381만톤 △2016년 407만톤이었다.

국제선 여객은 저비용항공사(LCC)의 공급 확대, 환율과 유가 영향에 따른 내국인 여행수요 증가, 한국 방문의 해 등에 따른 외국인 관광객 증가, 2015년 메르스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대비 18.8% 증가하면서 7000만명을 돌파했다.

지역별로는 일본(24.2%), 중국(20.5%), 동남아(20.2%) 노선에서 20% 이상 크게 증가했고, 대양주(17.8%)와 유럽(6.1%) 노선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공항별로는 국제선 여객 비율이 가장 높은 인천과 김해 공항이 각각 17.3%, 30.4% 증가했고, 대구(106.0%), 제주(37.2%), 청주(20.9%) 공항이 운항 증가와 함께 전년대비 여객 실적이 크게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의 운송실적은 전년대비 8.0% 증가했고,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실적은 전년대비 59.5% 늘었으며, 국적사 분담률은 64.7%를 기록했다. 분담률은 대형국적사가 45.1%, 저비용항공사가 19.6%다.

작년 항공화물은 유가하락으로 인한 비용 감소, 기타 플라스틱 제품 및 평판디스플레이 수출입 화물 수송 증가, 의류 및 화장품 등의 전자상거래 특송화물 수요 및 여객증가에 따른 수하물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7.0% 증가하면서 407만톤을 나타냈다.

국제 항공화물의 경우 동남아(11.0%), 일본(10.8%), 중국(10.6%) 노선을 중심으로 항공화물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7.5% 증가한 378만톤을 기록했다.

국내화물은 제주노선에서 2.1% 증가했지만, 내륙노선은 1.3% 감소해 전년대비 1.8% 증가한 29만톤을 기록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항공시장은 신흥국 경제성장 둔화, 브렉시트, 테러 등 세계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전체 항공여객 1억명 돌파, 항공화물 7%대 성장 등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다"며 "올해에도 내·외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 항공사의 운항노선 확대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