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안·후임자 결론 못낸 전경련 회장단 회의

2017-01-12 21:00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출범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12일 새해 첫 회장단 회의를 가졌다. 현 허창수 회장 임기내 마지막 회장단 회의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회의에서는 쇄신안과 후임 회장 추대 등 주요사안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전경련에 따르면 이날 오후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회장단 회의에는 총수 대부분이 불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었으나 최소한의 인원만 참석해 그나마 예정대로 진행할 수 있었다고 전경련 관계자는 전했다.

이날 회의의 주요 안건은 전경련 쇄신안이었다. 전경련은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 주도 건으로 정치권과 사회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으며 해체 압박을 받고 있다. 이에 LG와 KT는 전경련 탈퇴를 통보한 상태이고 삼성, SK, 현대차도 절차만 남겨 놓고 있다.

전경련은 그동안 회원사들에게 쇄신 방향에 대한 의견을 취합해 왔고, 이날 중간 보고 형식으로 발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주요 총수들이 빠진 상황에서 발표안을 결정하기에는 무리였다.

회의의 또 다른 안건은 다음 달 임기가 끝나는 허 회장과 이승철 상근부회장의 후임을 누구로 정할 것이냐는 것이었다. 이 또한 현 시국에서 선뜻 나서려는 이가 없어 후임자를 추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다음달 중순 정기총회가 열리기 전 전경련은 임시회의 방식으로 쇄신안과 후임자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 회원사 관계자는 “각 그룹들이 특검 수사와 자체 사업계획 수립 등으로 바쁘게 움직이고 있어 전경련 문제까지 신경을 쓰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특히 총수들이 전경련에 등을 돌렸기 때문에 그룹 내에서도 논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시민단체 등은 전경련의 즉각 해산을 요구하고 나섰다.

경제개혁연대는 성명을 통해 "전경련이 어떤 형식으로든 경제단체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은 현 전경련의 이름만 바꾸는 꼼수에 불과하다"며 "전경련 스스로 환골탈태할 의지도 능력도 없다면 더 이상 쇄신 논의를 진행하지 말고 즉각 해산 절차를 밟아 청산하라"고 주장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전경련은 각종 정경유착, 정치개입 사건의 핵심으로 지목됐고 작년에는 어버이연합 우회지원, 미르·K스포츠재단 사태에 연거푸 연루돼 더 이상 존재가치를 상실했다"며 회원사들의 조속한 탈퇴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