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박람회 우려 속 참여 기업들 “창업 지원·상생은 지속”

2016-12-04 17:00

장조경제박함회 포스터 [제공=창조경제박람회 홈페이지]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 “창조경제라는 울타리를 벗더라도 상생과 창업지원이라는 본질은 유지해 나갔으면 한다” (A사 관계자)

# “창업열기가 이대로 식어버린다면 우리 경제는 더욱 대기업 위주의 구조로 굳어버릴 것이다.” (B사 관계자)

4일 폐막한 창조경제박람회에 참여한 대기업들은 정치적 논란과 상관없이 스타트업에 대한 창업지원 및 상생 방침은 향후에도 유지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나흘간 열린 박람회에는 삼성전자, LG, 포스코, 현대중공업, 효성 등이 참여했다. 특히 참여기업 중 다수는 상생협력존에 부스를 마련해 스타트업 지원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상생부스존에서는 대기업 등의 창업지원 성공 사례, 발명 아이디어 성공 사례, 기술이전 사례 등이 전시됐다.

헌정사상 최대의 국정농단이 벌어지면서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는 위기를 맞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주관부서인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해보다 2배 가량 규모를 키워 창조경제박람회를 개최했다.

이 같은 상황은 즉각 여론의 비난에 직면했다. 정부가 민심을 외면하고 전시성 행사에 예산과 인력을 투입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설상가상으로 창조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스타트업 부스는 한산한 반면, 가상체험(VR) 등으로 꾸민 대기업 부스만 북적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실효성 논란도 이어졌다.

정부는 이 같은 논란에 “창조경제 박람회는 보여주기식 자축성 행사가 아니다”라며 “기업들이 그간의 사례를 확인하고 나누는 한편, 민·관 데모데이 개최, 참여시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내실있는 행사로 운영되고 있다”며 즉각 진화에 나섰다.

여론을 반영하듯 올해 창조경제 박람회는 호평보다는 정치적 이슈에 둘러싸여 이날 5시에 막을 내렸다.

참여기업들은 창조경제가 정치적 이슈와 얽혀있는 현 상황에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이면서도 스타트업 지원 및 기술인력 양성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한 관계자는 “정부의 눈치 속에 참여했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우리 기업이 진출한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필요한 인력을 육성한다는 취지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다른 기업 관계자도 “창조경제를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해 애꿏은 창업 희망자들이나 스타트업이 피해를 입는 것 같다”며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과 협력은 기업차원에서 계속 진행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