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도약을 준비하는 수협
2016-11-30 11:13
해양수산부 장관 김영석
12월1일. 54년 역사의 수협이 새롭게 태어난다. 수협은 지난 1962년 설립후, 어업인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수산업 경쟁력을 향상에 기여해 왔다. 수산물 생산량 세계 10대의 수산강국으로 도약한 배경에 수산업협동조합이 있다.
92개 단위수협인 회원인 수협은 국내 최대의 수산 단체로, 어업인을 위한 경제·신용·교육·지도사업을 책임진다. 신용 업무를 수행하는 수협은행은 국내 유일의 수산금융 조달창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업인 금융 지원을 수행하면서 수산업 종사자와 수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해 왔다.
지난 2008년 이후 글로벌 금융 규제가 강화되고, 수산물 소비·유통 환경이 변화하면서 수협도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에 따라 정부와 수협은 자본 확충을 통한 수익성 제고 등을 위해 신용사업을 자회사로 분리하기로 결정했다. 기존에 투입한 1조1581억원의 공적자금을 출자 전환분을 포함해 총 2조원 가량의 자본을 확충함으로써 수협은행이 분리 출범하게 됐다.
또 과거 단순한 위판중심 경제사업도 유통, 가공, 수출 중심으로 재편해 새로운 시장 환경에 적응해 나갈 준비를 마쳤다.
수협은행은 24조원의 자산 규모를 2021년까지 35조원, 780억원의 순이익은 1700억원으로 늘려간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시중 은행과 무한 경쟁이 시작된다. 경쟁력 확보가 최우선이다. 저성장 기조 고착, 미국발 보호무역주의와 금리인상 압박 등 앞을 가늠할 수 없는 경제상황에서 쉽지 않아 보인다.
재무구조와 영업구조를 개선, 혁신적인 상품개발 등 금융개혁을 통해 소비자의 마음을 하루빨리 사로잡아야 한다. 1963년 2억6000억원에 불과하던 자본금을 1조5000억원까지 키운 수협의 역사를 보며 다시 해낼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우리 수산업은 1960년대 수산물 수출로 외화획득을 주도하며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는 데 큰 몫을 해왔다. 수산업은 빠르게 기반을 잡고 수출을 주도하는 국가 주요산업으로 성장하여 7~80년대 최대 호황기를 누렸다.
하지만 1990년대 세계시장 개방화의 물결과 어장환경 악화, 수산자원 감소 등 부침을 겪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FTA 체결 등 시장 개방 압력과 수산자원 감소, 어촌 활력 저하 등 위기에 직면했다.
정부와 수산단체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 있지만, 어업인 스스로 체질을 바꾸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처방이다.
수협이 중심이 있다. 교육과 문화, 경제 등 어업인과 어촌의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끌어안고, 푼다면 수산업의 어려움을 넘는 실마리는 머지않아 풀릴 것으로 확신한다.
새로운 50년을 넘어 100년을 바라보고 첫 발을 내딛는 수협을 국민 여러분도 따뜻한 마음으로 응원해 주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