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안전도시 만들기' 현장 근로자, 전문가 등 전체 과정 시민이 주도한다

2016-11-30 11:15
시설물 관리‧통계 위주 탈피, 사회‧인문학적 관점 더해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가 전적으로 시민이 주도하는 '안전도시 플랜'을 수립한다. 기존 하드웨어 시설물 관리나 통계 위주에서 벗어나 사회‧인문학적 관점이 더해지는 게 특징이다.

서울시는 시민의 시각에서 안전현안을 진단해 현실 적합성과 현장 실행력을 높인 중장기 종합대책인 '안전도시 서울플랜' 수립에 본격 착수한다고 30일 밝혔다.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까지 대비하는 '안전 패러다임' 혁신을 이뤄나간다는 목표다.

최일선에서 일하는 현장의 근로자와 관리자가 꼭 필요로 하고, 시민들이 관심있는 안전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대책들이 담긴다.

현재 우리사회는 지하철2호선 구의역 사고를 통해 '평등한 안전'의 욕구가 분출되는 등 사회‧경제환경 급변화에 따라 다채로운 안전이슈가 현안으로 떠올랐다. 연장선에서 2015년 메르스, 올해 9월 경상북도 경주 지진처럼 감염병, 지진 같은 신종재난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복잡‧다양해지는 서울의 안전리스크 요인을 바라보는 공무원과 시민 인식의 온도차를 해소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향후 안전도시 서울플랜의 모든 과정은 서울플랜 기획위원회'가 주도한다. 국내 안전사회학의 개척자인 임현진 서울대 사회학과 명예교수가 위원장을 맡았다.

2017년 1월까지 시민토론회, 전문가 워크숍, 현장 인터뷰 등을 거쳐 각계의 의견 수렴, 사회경제적 환경분석 및 현장점검을 벌여 안전취약요소 발굴에 나설 예정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현안의제가 담긴 시민안전보고서를 작성, 서울시에 권고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록펠러재단의 세계 100대 재난회복력도시(100RC), 미 국토안보부 산하 미국연방재난관리청(FEMA) 등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선진 재난관리기법 도입도 추진한다. 이번 대책의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한 차원이다.

임현진 위원장은 "사회도처에 다수의 위험요소가 존재하지만 정책 당국자나 각 분야 전문가들은 사회체계의 개선보다 기술공학적으로 문제를 풀어왔다"며 "안전도시 서울플랜은 우리사회의 안전시스템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