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에 연준 FOMC 개최에...금값 오를까

2016-11-01 17:08
"불확실성에 온스당 1500달러대 상승" 주장 나와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미국 대통령 선거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결정회의를 앞두고 금값이 상승세로 돌아설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CNBC가 10월 31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론 윌리엄 RW 시장 자문의 설립자 겸 수석 시장 전략가는 "미국 대선을 전후해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금값이 최대 온스당 1500달러대까지 상승할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안전자산 중 하나인 금값은 통상 시장이 불안할수록 가치가 오른다. 대선을 일주일 앞두고도 윤곽이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 금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결정회의도 금값에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연준은 1~2일 양일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금리인상 여부를 논의한다. 시장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이달 FOMC에서는 금리를 동결 조치한 뒤 12월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금 가격은 2016년 들어 20% 상승했지만 7월 초 정점을 찍고 다시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 7월 초까지 금값은 52주 연속 상승하면서 온스당 1365달러까지 올랐다.

이후 강 달러 등의 영향에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0월 31일 기준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물 금 가격은 전날 종가보다 2.50달러(0.2%) 떨어진 온스당 1,274.30달러에 거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금융권에서는 금값 인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존 라포지 웰스파고 원자재부문 대표는 10월 초 내놓은 보고서에서 "금값 등락의 대형 사이클을 고려할 때 금값은 온스당 최대 200달러까지 떨어져 당분간 1050달러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네덜란드 은행 ABN 암로도 앞서 10월 보고서를 통해 "올해는 금값이 1200달러대를 유지하다가 2017년 들어 1150달러대까지 하향 조절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