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료, 내 급여에서 얼마나 빠져나갈까? '고용보험료 계산해보자!'

2016-10-25 15:12

[사진=국민연금 홈페이지 캡쳐]
 

아주경제 전현정 기자 = 고용보험료 계산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고용보험'이란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실직한 근로자와 그의 부양가족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실직자의 재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일환으로, 국민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산업재해보상보험과 함께 4대 사회보험에 속한다.

회사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에는 고용보험료를 비롯한 4대보험료를 제외한 후의 금액을 급여로 받게 된다.

따라서, 자동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내 급여에서 고용보험료가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또는 고용보험료 계산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내 소득의 얼마만큼의 보험료가 빠져나가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 고용보험료를 계산해보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국민연금 홈페이지의 '4대보험 계산기'를 이용해 볼 수 있다.
 

[사진=국민연금 홈페이지 '4대보험 계산기' 캡쳐]
 

먼저,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하단에 '4대보험 계산기'를 클릭한다.

4대보험료 간편계산기 창이 뜨면 상단에 연금보험료 계산, 고용보험료 계산, 국민건강보험 계산, 산재보험료 계산의 4가지 항목이 나오는데, 이 중 원하는 항목을 클릭한다.

고용보험료 계산을 클릭하면 근로자 수 선택항목과 신고소득월액 입력 칸이 나타나는데, 해당 항목을 선택 및 작성 후 '계산하기'를 누르면 고용보험료 총액과 내가 부담하는 고용보험료인 근로자 부담액, 사업장이 부담하는 고용보험료인 사용자 부담액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