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반발' 중국ㆍ러시아 달래기, 올 하반기 관계회복 분수령

2016-07-15 01:00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과 중국과 필리핀 간 남중국해 분쟁에 따른 판결로 동북아 정세가 요동치는 가운데, 올 하반기가 향후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정세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 연말까지 중국·러시아와의 불편해진 관계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물밑 접촉에 나설 방침이어서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15일부터 이틀간 몽골 울란바타르에서 열리는 제11차 아셈(15∼16일)에 참석할 예정이지만, 리커창(李克剛) 중국 국무원 총리와의 정상회담은 갖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 수석은 14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한중·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서는 그런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박 대통령이 ASEM 기간에 중국, 일본 정상과 공식 회담 자리를 마련하지는 않더라도 회의장 안팎에서 이들과 조우해 짧은 대화를 주고받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

실제 박근혜 정부 들어 박 대통령은 2014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제10차 아셈정상회의에서는 리 총리와 회동한 바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일정도 관심사다. 윤 장관이 오는 23∼26일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리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3(한·중·일) 및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26일) 등 아세안 관련 일정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회동할지 주목된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남중국해 판결로 ARF 기간 사드보다는 남중국해 문제가 주요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중국과 북한은 사드 문제에 대해 적극적 의견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8월에는 북한을 자극할 만한 을지프리덤가디언(UFG)연습이 있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정부의 사드 배치 발표 후 사드 배치 지역에 대한 물리적 대응을 경고하기도 했다.

일각에선 중국과 러시아가 당장 경제적 제재를 가하진 않더라도 한국과의 관계를 쉽게 회복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이해영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는 "정부는 사드가 대북용이라고 설득하겠으나 중·러 입장에서는 뻔한 이야기라서 백약이 무효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13일(현지시간) 한일 외교차관은 다음날 열리는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에 앞서 최근 북한의 도발 및 위협에 대응해 긴밀한 협력을 이뤘다고 외교부가 이날 밝혔다.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은 13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스기야마 신스케(杉山 晋輔)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외교차관 회담을 하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및 압박 공조를 계속 견인해 나가기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외교부가 설명했다.

이번 한일 외교차관 회담은 현지시간 14일 열리는 제4차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에 앞서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