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땅따먹기' 열풍…부동산 광풍이 토지 경매시장까지 번져

2016-06-03 16:15
1,2선도시 잇단 '지왕' 출현…400% 프리미엄 얹은 가격에 토지 매입
집값보다 두배 빠르게 오르는 땅값
저금리 속 유동성 풍부…투자처는 부족…1,2선도시 토지시장에 자금 몰려
집값 조정기 돌입시 리스크 우려

상하이 주택용지 평균 거래가격 폭등[자료=써우팡닷컴]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중국 베이징·선전·상하이 등 1선도시를 중심으로 토지 경매시장에도 '광풍'이 불고 있다. 실물경기 둔화로 갈곳을 잃은 자금이 이제 '땅'으로 몰려들고 있는 것. 치솟는 땅값에 당 기관지까지 나서서 광풍을 잠재워야 한다고 경고했다. 

중국 21세기경제보(21世紀經濟報)는 중국의 토지시장 열풍이 지난 2009년, 2013년때보다 훨씬 뜨거워 곳곳에' 지왕(地王)' 잇달아 출현했다고 3일 보도했다. 지왕이란, 토지 시장에서 일정 기간 내에 최고 가격이 붙은 토지를 일컫는 말이다. 

지난 2일 광둥성 선전시 룽화신구에서 올 들어 처음 공급한 토지면적 3만5673㎡, 건축면적 14만6000㎡, 토지 사용기간 70년짜리 상업주거용 토지 경매에 18개 건설사가 참여, 국유기업 배경의 중국전력건설그룹-광저우 팡룽 컨소시엄이 82억8900만 위안(약 1조4900억원)에 최종 낙찰 받았다.

이는 ㎡ 당 5만6781위안(약 1021만원)에 땅을 매입한 것으로 인근 주변 집값 평균 시세인 5만~5만5000위안보다 비싼 수준이었다. 현지 언론들은 '배보다 배꼽이 크다'고까지 전했다.

영국 부동산투자업체 세빌스 중국본부 관계자는 해당 토지는 약 65억에서 70억 위안 가격에 낙찰되는 게 정상적이라며, 향후 해당 지역 신규주택 분양가격은 최소한 ㎡당 8만5000에서 9만 위안에 팔아야 수지타산이 맞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룽화 지역 땅값은 집값의 두 배 속도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2007년부터 9년 간 1㎡당 평균 집값이 1만 위안에서 4만7865위안까지 5배 오른 반면 같은 기간 땅값은 5600위안에서 5만7000위안으로 10배가 뛰었다.  

비단 선전시뿐만이 아니다.  같은 날 베이징 하이뎬구 중관촌에 소재한 토지 경매에서 룽후부동산이 14억1000만 위안에 낙찰받았다. ㎡당 가격은 3만200위안으로 107% 프리미엄이 붙은 가격이다. 이는 7개월 전인 지난 해 10월 완커가 인근 지역 토지를 ㎡당 1만3000위안에 매입한 것보다 두 배 높은 수준이다.

앞서 1일 상하이시 외곽지역인 바오산구 바오산신청 상업주거용지가 경매에 부쳐졌는데, 재정부 산하 신다그룹 자회사 신다부동산이 ㎡당 4만8000위안에 총 58억500만 위안에 낙찰받았다. 이는 306.53% 프리미엄을 얹은 가격으로 올해 상하이 토지 경매시장에서 가장 높은 프리미엄율이 적용된 것이다.  향후 이곳에 지은 주택 예상 분양가는 ㎡당 약 7만 위안으로, 현재 인근 집값 시세보다 두 배 비싼 수준이다.

이와 관련, 21세기경제보는 최근 2~3년 사이 베이징·상하이·선전 지역 땅값이 집값보다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1선도시 토지 경매시장 열기는 주요 2선도시에까지 번지고 있다. 지난 달 안후이성 허페이, 장쑤성 쑤저우·난징, 광둥성 둥관 등 지역 토지 경매에서도 300% 이상 프리미엄을 얹은 액수에 토지가 낙찰된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중위안부동산 시장연구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전국 50개 대형건설사 토지 매입액은 3887억 위안에 달했다. ㎡당 평균 6283위안에 토지를 낙찰받은 것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4% 오른 가격이다.

특히 5월부터 토지 경매시장 열기가 타오르고 있다. 중국지수연구원에 따르면 5월 전국 300개 도시 토지 매입액 총액은 2251억 위안에 달했다. 전달 대비 37%,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이중 주택용지 매입액이 1787억 위안으로 전달 대비 33%,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했다. 

토지 경매시장 열풍은 국유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게 눈에 띄는 대목이다. 중위안부동산은 지난달까지 전국적으로 고가에 낙찰된 토지 105곳 중 52곳이 국유기업의 손에 들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국유기업의 토지 총 매입액은 1785억8000만 위안으로 전체 토지 매입액의 54%를 차지했다. 

토지 경매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것은 저금리로 유동성은 풍부하지만 실물경기 부진 속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최근 부동산 열풍이 불고 있는 1,2선 도시의 토지로 몰리고 있는 것이라고 장다웨이 중위안부동산 수석애널리스트는 분석했다. 특히 건설사뿐만 아니라 증권사·보험사·자금운용사 등의 자금도 토지 시장에 몰리고 있다는 것.

이로 인해 토지가격에 거품이 끼고 있다며 경고등도 깜빡이고 있다.  현재 가파르게 상승 중인 집값이 조정기에 들어가면 거액을 주고 땅을 매입한 건설사들이 거액의 손실을 볼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도 3일 땅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며 토지 매입 열기를 수그러뜨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미 일부 도시에서는 과열된 토지 경매시장 열기를 가라앉히는 조치도 나왔다. 쑤저우가 지난 달 18일 토지 경매 입찰가격 상한선을 정한 데 이어 27일 난징시에서도 이와 비슷한 조치를 내놓은 게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