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싱크홀 발생과 관련,시민단체 1인시위등 본격적 행동 돌입

2016-06-03 09:02
해당 시공사,근본대책없이 공사강행만 모색중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지난 3월 28일 인천 동구 송현동 중앙시장 내에서 발생한 싱크홀과 관련, 참다못한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이 1인시위등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행동에 돌입했다.

인천김포도로(주)와 해당 건설업체들이 근본적 대책마련에는 미온적으로 대처하면서 공사 강행만을 모색하고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3일 인천평화복지연대(이하 시민단체)에 따르면 사고발생 이후 시공사인 한라건설과 포스코 건설은 관련 기관을 통해 씽크홀 사고 주변지역과 미굴착 구간에 대해서만 안전성 조사를 실시했고 향후 터널 굴진이나 노후관로에 의해 공동발달의 가능성이 있는 이상구간이 한라건설구간과 포스코건설 구간에서 각각 2개소와 3개소가 나타났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부분 조사에서 발견된 공동 징후 결과에 대해 정밀 조사나 대책 마련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채 인천김포도로(주)와 시공사 측은 공사를 재추진할 방법만 찾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례로 지난 5월 18일 안상수 의원 측에서 마련한 주민 및 관계기관 간담회 후 포스코건설은 공사를 강행 했다가 동구청 등의 항의를 받고 공사를 중단했다.

한라건설도 공사 재개를 위한 주민 설명회를 추진하려다 계속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단체는 또 씽크홀은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생기는 빈공간이 지하수의 변화에 의해 점점 커지면서 압력을 못 이겨 발생하는 현상으로 공사 과정에서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 지하 터널 공사 후 수년이 지나서 나타나게 된다면서 전문가들은 지하터널 공사 후 이로 인해 발생하는 씽크홀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시민단체는 아울러 서울시도 지난해 12월부터 4개월간 동공탐사를 통해 숨은 동공 105개를 발견하여 씽크홀 발생에 대한 예방 대책을 세우기 시작했다며 제2외곽순환 고속도로 지하 구간은 이미 공사 단계부터 씽크홀 사고가 생긴 만큼 공사 과정 뿐 아니라 공사 전 철저한 안전 조사와 사후 안전 모니터링과 조사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와관련 시민단체 관계자는 “ 자치단체와 전문기관, 주민, 시민사회가 함께 지하터널 기공사 구간과 미공사 구간 및 주변지역에 대한 안전 공동 조사를 해 주민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 며 “우리는 인천김포도로(주), 한라건설, 포스코건설이 즉시 지하 건설구간과 주변지역 안전 조사와 대책 수립 계획을 내 놓을 것을 촉구한다. 조사와 특별한 안전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다면 국정조사 추진, 감사원 감사, 국민권익위 제소 등의 모든 방법을 추진할 것이다. 또 인천평화복지연대와 중.동구평화복지연대는 인천김포고속도(주),한라건설,포스코건설 본사 등에서 1인 시위 등의 시민행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1인시위 장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