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미리 보는 4차 산업혁명] “융복합發 대변혁 온다”…개방형 협력체계 필수

2016-05-23 16:50
①20대 국회 왜 4차 산업혁명인가…‘추락이냐, 반등이냐’ 기로에 선 한국 경제 방향타

사진은 세계경제포럼(WEF)의‘일자리의 미래’ 보고서. “기술 융·복합발(發) 대변혁이 온다.” 4차 산업혁명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사진=세계경제포럼 홈페이지 ]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기술 융·복합발(發) 대변혁이 온다.” 4차 산업혁명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 경제가 산업 구조조정의 격랑에 휘말리는 사이, 전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혁명기 진입을 위한 길에 나섰다. 4차 산업혁명이란 정보통신기술(ICT)과 제조업의 전면적 결합을 통한 융·복합형 차세대 산업혁명이다. ‘추락이냐, 반등이냐’의 기로에 선 한국 경제가 4차 산업혁명에서 도태한다면, 경제위기가 반복하는 ‘남미형 경제’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관련 기사 2면>

23일 여·야 정치권과 전문가들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3차 산업 대비 10대 빠른 속도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파괴적 창조 △선점효과 △디지털 유기체의 진화 등이다. 초스피드로 진화한 인공지능(AI)을 통해 각 산업이 디지털 생태계화로 연결된다는 의미다.

인터넷 기반의 지식정보혁명인 제3차 산업혁명이 제품의 디지털화에 그쳤다면, 4차 산업혁명은 ICBM(IoT·Cloud·Big Data·Mobile)를 통해 생산관리부터 경영 시스템 전반 등 각 분야의 플랫폼이 디지털화되는 창조적 혁신이다. 이른바 ‘소프트파워’ 즉, 제품의 지능화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셈이다. 독일의 ‘인더스트리(Industry) 4.0’과 우리의 ‘제조업혁신 3.0 전략’ 등도 동일한 개념이다.
 

국회 본청. 23일 여·야 정치권과 전문가들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3차 산업 대비 10대 빠른 속도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파괴적 창조 △선점효과 △디지털 유기체의 진화 등이다. 초스피드로 진화한 인공지능(AI)을 통해 각 산업이 디지털 생태계화로 연결된다는 의미다.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tlsgud80@]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과 초빙교수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우리 경제의 기존 산업이 무너지면서 미래 먹거리가 없는 상황”이라며 “4차 산업혁명을 계기로 신산업 발굴 등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도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산업 파괴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할 것”이러며 “새로운 판으로 올라서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신산업 규제 혁파로 4차 산업혁명에 불을 지핀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개원(5월30일)을 앞둔 20대 국회도 여·야 과학통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공동연구포럼 구성에 나섰다. 주인공은 원내 3당 비례대표 1번인 송희경 새누리당·박경미 더불어민주당·신용현 국민의당 당선자다. 이들은 “20대 국회에서 4차 산업혁명 연구단체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협치의 개방형 협력체계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조선·해운 등의 한계기업 구조조정은 물론, 4차 산업혁명의 부작용으로 꼽히는 인간의 노동 대체에 따른 일자리 감소 및 사회 양극화 심화 등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자본주의의 디스토피아(Dystopia-사회의 부정적인 부분이 극단적으로 확대돼 초래하는 미래의 모습) 등 인공지능 만능론의 역습을 차단하는 것도 여·야 정치권의 몫이라는 얘기다.
 

박근혜 대통령 [사진=청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