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바나나파동 재현되나…열대과일 재배 급증
2016-04-07 14:17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열대과일 수입이 급증하는데도 열대과일 재배 농가는 오히려 늘고 있다. 열대과일이 새로운 고소득 작목이 될 것이라는 농가의 막연한 기대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재배기술 부족 △고가의 시설투자 △수확후 안정적인 판로 미확보 등으로 대부분의 열대과일 재배농가가 경영난에 시달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1990년대 바나나 파동이 또다시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기상이온 현상, 수입과일 수요증가, 지방자치단체 고소득 작목 육성 등으로 국내 열대과일 생산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열대과일 생산량은 전년(769.6t)보다 52.5% 늘어난 총 1174.1t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 패션프루트가 408.7t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망고 398t, 파인애플 167t, 용과 86t, 파파야 62.9t, 바나나 32t, 구아바 15.5t, 아떼모야 4t 순이었다.
지난해 재배면적과 농가수는 전년(58㏊·174곳)보다 각각 83.7%, 51.7% 급증했다. 국내 주요 열대과일 재배면적은 여의도 면적 290ha의 40%에 가까운 106.6㏊, 재배 농가는 264곳으로 집계됐다.
열대과일 재배지역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따듯한 제주도에서 충청북도까지 빠르게 북상했다. 2014년 전체 열대과일 재배농가 174곳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86곳이 제주 농가였지만, 지난해는 제주 비율이 88곳(33.3%)으로 줄었다.
반면 경북(20.8%), 경남(15.2%), 전남(14.8%) 등은 열대과일 재배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2014년만 해도 열대과일 농가가 없던 대구, 부산, 전북, 충남, 충북에서는 지난해 신규 열대과일 재배농가가 등장했다. 이중 패션프루트 농가는 경북(52개), 전남(25개), 전북(22개) 등을 중심으로 재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사이에서는 열대과일이 고소득 작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열대과일을 재배하는 농가는 재배기술, 안정적인 판로 등이 없어 고전을 면치못하고 있다.
지난해 패션프루트 재배를 시작한 전북 김제지역 과수농가 20곳 가운데 상당수는 1년도 채 안돼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은 가을에 잦은 비로 낙과 피해, 겨울에는 높은 난방비 부담에 시달렸다.
특히 어렵게 열대과일을 수확했지만 판로를 찾지 못해 폐원위기에 놓인 곳도 있다. 이는 1990년대 바나나 파동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중반 제주도에서 고소득 작물로 꼽히는 바나나와 파인애플 재배농가가 급증했다.
바나나는 198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재배해 1990년에 재배면적이 440.2㏊, 생산량이 2만1770t에 달했다. 1990년대에 들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타결에 따른 수입자유화로 대부분 농가가 폐원했다. 지난해 재배면적은 1㏊로 명맥을 겨우 유지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FTA)도 위협요소다. 미국산 자몽·아보카도는 관세가 철폐됐고, 한·아세안 FTA로 동남아산 열대과일 관세도 계속 낮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열대과일 시장이 열리면, 과거 바나나 파동처럼 농가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경고한다.
지성태 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열대과일 재배는 초기 투자비용과 난방비 등 유지·관리비 부담이 크고, 재배기술 연구·보급이 취약한 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자체는 열대과일을 소득작물로 육성할때 수입과일과 경쟁관계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며 "농업인도 기술력과 시장상황 등을 따져 신중하게 도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