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회 앞두고 중국 제3기 자유무역구 '화두'...'일대일로' 중서부 유력

2016-02-24 14:42
빠르면 양회 후, 상반기 내 5~8곳 선정 전망...후베이, 충칭, 쓰촨 등 유력

[그래픽= 아주경제 김효곤 기자 hyogoncap@]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중국 경제도시 상하이, 광둥(廣東)·푸젠(福建)·톈진(天津)에 이어 중국 시장 개방의 '교두보'가 될 지역은 어디일까. 중국 31개성(省)·시·자치구의 지방양회가 이주 초 막을 내리고 3월 초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정치협상회의)가 다가오면서 제3기 자유무역구 선정에 시장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지방양회 기간 칭하이(靑海)와 지린(吉林), 베이징, 산시(山西), 시짱(西藏)자치구 등 21개 지역 당국이 자유무역구 신청의사를 밝혔으며 이 중 16개 지역이 '2016년 업무계획'에 자유무역구 신청을 확실히 포함시켰다고 24일 보도했다. 중국 4대 자유무역구의 다음 타자가 되기 위한 중국 각지 정부간 치열한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제3기 자유무역구 선정은 빠르면 양회 폐막 직후 , 늦어도 상반기 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5~8곳이 선택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참고보는 물론 동방재부망(東方財富網), 중국증권망(中國證券網) 등 대다수 중국 경제지는 중국 자유무역구 3.0 시대는 동부 연해지역이 아닌 중서부 지역이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후베이(湖北), 충칭(重慶)시, 광시(廣西)좡족자치구, 산시(陝西)성, 허난(河南), 쓰촨(四川) 등이 손꼽힌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는 중국 당국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실크로드)', 특히 육상벨트인 '실크로드 경제벨트' 추진을 위해 중서부지역 시장개방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현실과 연관된다. 실크로드 경제벨트는 중서부 개발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육상 경제권을 조성하자는 구상이다.

유력 후보지는 벌써부터 구체적인 구상을 공개하며 자유무역구 조성지로 선택받기 위한 행보에 돌입했다. 후베이성 당국은 최근 업무보고에서 "성도인 우한(武漢)과 샹양(襄陽)시, 이창(宜昌)시 3곳을 아우르는 자유무역구를 조성해 일대일로는 물론 장강(長江)경제벨트 등과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허난성은 △종합형 개혁 △ 국제물류센터조성 △ 사전·사후 관리·감독 혁신 등을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정저우(鄭州)를 중심으로 카이펑(開封)과 뤄양(落陽)을 아우르는 총 120㎢규모의 자유무역구를 조성하겠다"며 승부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최근 가오후청(高虎城) 상무부 부장(장관)은 "중국 자유무역구 실험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면서 자유무역구를 각지로 확대할 뜻을 재차 시사했다. 가오 부장은 "지난해 4월 자유무역구 2기가 출범한 후 총 366개의 시장개방 및 개혁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성공률이 80%를 웃돈다"며 "자유무역구의 핵심은 제도혁신, 권력이양과 승인절차 간소화, 각종 규제 철폐"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