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없는 중금리대출 '반쪽짜리 정책' 전락 우려
2016-02-02 12:28
중금리대출의 핵심은 빅데이터 분석으로 개인신용도를 평가해 부실률을 낮추는 것인데 은행들이 이러한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존 대출 관행을 답습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정부가 내놓은 중금리대출 활성화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앞서 정부는 중금리 신용대출 시장 활성화를 위해 보증보험과 연계한 중금리 신용대출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오는 하반기 서울보증보험과 연계해 은행·저축은행이 총 1조원을 공급하는 중금리대출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문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 않을 경우 중금리대출 확대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신용평가 모형을 개발해 4~7등급 신용자에 대한 위험 부담을 낮추고 10% 내외의 맞춤형 금리를 제공해야 하는데, 단순히 보증보험과 연계한 방식은 반쪽짜리에 그칠 우려 때문이다.
현재 국내 은행들의 경우 신용평가 정보가 부족하고 평가 시스템이 미흡해 중신용자에 대한 신용도를 판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우리은행 위비모바일대출, 신한은행 써니뱅크 대출 등 시중은행의 중금리대 상품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보다 소득, 신용도, 보험료 납부, 카드실적 등 단순한 수치를 바탕으로 대출 심사가 이뤄지고 있다.
반면 중국 텐센트의 자회사 위뱅크의 경우 거래정보에 근거한 신용평가로 대출 승인이 거절된 고객을 대상으로 게임 접속시간, 활동 내역 등 SNS(소셜네트워크)의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신용평가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빅데이터 활용에 대해 내부적으로 계속 논의하고 있지만 아직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은 개인정보를 성명·주민등록번호 등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로 정의하고 있지만 신용정보법령은 비식별정보가 개인신용정보인지 명확하지 않아 금융사가 비식별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다양한 중금리대출이 출시돼도 시중은행들이 기존 대출 관행을 그대로 답습해 활성화되지 못할 것이란 우려나가 나오고 있다.
한 핀테크업계 관계자는 "은행들은 대출을 심사할 때 재무제표와 같이 수치로 나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가할 뿐 눈에 보이지 않는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면서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면 정부의 핀테크 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