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대비하라] <하> 정부, 한국형 기후시나리오 만든다

2016-01-07 08:01
폭염·한파 피해 최소화 중점…이상기후 정보 1개월 빨리 제공
고령자·야외근로자 등 기초자료 확보…재난관리자원 시스템 가동

[그래픽=김효곤 기자 hyogoncap@]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이상기후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정부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정부는 기후변화가 향후 한국경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파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올해부터 2020년까지 '한국형 기후시나리오' 개발에 착수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국가 기후벼화 적응대책'을 지난달 22일 녹생성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

범정부 차원으로 추진되는 이번 적응 대책은 기후변화 위험 요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분야별로 연계와 통합을 강화하는 한편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취약계층 증가 등 사회 여건 변화도 반영했다.

주목할 점은 정부 주도의 ‘한국형 기후시나리오’ 개발이다. 정부는 미래 기후변화 전망 자료 정확성을 높이고 건강, 농업, 물, 해양, 생태계 등 여러 부문 취약성을 통합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상고온(폭염), 이상저온(한파) 등 이상기후 정보를 내년부터 1개월 등 장기 정보 제공으로 확대하고 2019년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 복합위성을 활용해 보다 정확한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예보를 실시하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올해부터 추진할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감소 및 기회 현실화를 목표로 잡고 4대 정책부문과 이행기반 마련에 따른 총 20개 정책과제로 구성했다.

한국형 기후시나리오는 2차 대책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지난해 42년 만의 가뭄이나 올 겨울 고온현상과 같은 이상기후를 사전에 경고하는 방식이다. 지난 1차 대책에서 가뭄위험 시나리오 지도작성, 지난해 기상청의 종합가뭄정보시스템 구축 등이 기후시나리오 범주에 속한다.

정부는 이런 각 부처 기후시나리오를 묶어 가뭄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상세분석 정보 지원체계 구축과 함께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 수요관리 기본계획 마련 및 물 절약 시민참여를 위한 홍보사업도 병행하겠다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취약한 계층과 지역을 우선적으로 관리하고 건강과 재난 관리에 대해 선제적인 대응시스템도 마련한다.

내년부터 고령자, 야외근로자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대한 기초자료(DB)를 구축해 바우처, 방문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기상재해 대응을 위한 권역별 응급의료센터를 올해 41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확대, 해안침수예상도 갱신, 2018~2019년 연안지역 홍수침수예상도 작성 등 취약지역과 시설 피해를 최소화하는 작업이 진행되며 산재된 재난관리자원을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재난관리자원 공동 활용시스템을 내년에 가동한다.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산업계 기후적응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 심한 가뭄에 견디는 농산물 품종 등을 2020년까지 200종을 개발하고 제조업체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업과 산업단지 별로 적응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적응산업 육성 로드맵을 올해 마무리하고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에도 노력할 방침이다. 국제협력 프로젝트 발굴 등을 통해 지난달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이후 급속하게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해외 기후변화 적응시장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진출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이번에 확정된 2차 대책에 따라 관련 부처는 시행 계획을 오는 3월까지, 광역지자체는 올해 말까지 각각 광역 적응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정은해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장은 “최근 모든 국가의 적응계획 제출과 정보공유 사항이 담긴 파리협정 타결 등 적응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이번 2차 적응 대책을 내실 있게 추진해 기후변화 적응을 새로운 기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