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무대응 땐 2100년까지 GDP 21% 감소
2024-11-04 12:11
한국은행·금감원·기상청 'BOK이슈노트' 공동 발간
4일 한국은행 지속가능성장실·금융감독원·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BOK 이슈노트-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기후대응 시나리오별 분석' 보고서를 공동 발간했다.
먼저 보고서는 온도 상승 억제 목표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의 기후대응 경로를 △1.5℃ 대응 △2.0℃ 대응 △지연 대응 △무대응 등 4가지로 상정했다. 이후 리스크 파급 경로를 △탄소가격 상승·기술발전 등 전환 리스크 △온도 상승·강수량 변화 등 만성 리스크 △태풍·홍수 등 급성 리스크로 나누어 분석했다.
1.5℃ 대응시 GDP는 탄소가격 상승 영향으로 2050년경 기준시나리오 대비 13.1% 감소하지만, 이후 친환경 기술발전 및 기후피해 완화로 점차 회복해 2100년경 10.2%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무대응시엔 탄소가격이 명시적으로 0으로 설정돼 GDP가 2050년경 기준시나리오 대비 1.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후 기후 피해가 확대되면서 2100년경에는 21.0%까지 감소했다.
2℃ 및 지연 대응시엔 GDP는 2050년경 기준시나리오 대비 각 6.3%·17.3% 감소하고, 2100년경에는 15.0%·19.3%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GDP 성장률(2024~2100년 중)의 경우 1.5℃ 대응 시나리오 하에서 연평균 0.14%포인트 하락에 그치지만 무대응 시나리오 하에서는 0.3%포인트 하락했다. 2℃ 및 지연 대응 시 GDP 성장률은 각각 연평균 0.21%포인트·0.28%포인트 하락했다.
산업별 부가가치를 살펴보면 전환 리스크에는 정유·화학·시멘트·철강·자동차·발전 등 탄소집약적 산업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리스크에는 농업·식료품·건설·부동산·음식점업 등이 취약했다.
특히 무대응 시나리오 하에서의 생산자물가는 글로벌 농산물 공급충격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2080년 이후부터 점차 상승해, 2100년경에는 기준시나리오 대비 1.8%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무대응 시 태풍 피해액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확대돼 2100년경 9조7000억원에 달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1.5℃ 대응 피해액(7조원)보다 38%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대응 시 홍수 피해액 역시 2100년경 3조2000억원에 달하며, 1.5℃ 대응 피해액(2조1000억원)보다 52% 큰 수준이다.
김재윤 한은 지속가능성장실 과장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가 넷제로를 선언한 상황이라 무대응은 실현 가능성이 굉장히 적다"면서 "4가지 경로 중 장기적으로는 1.5도 대응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후변화 리스크는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무대응 경로로 가면 다시 돌아올 수 없다"며 "이 점을 감안할 때 장기 물가 변동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