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구고속도로' 전구간 4차로 확장 개통… 통행시간 30분 단축

2015-12-22 15:00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명칭 변경

광주~대구고속도로 위치도. [제공=국토교통부]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88올림픽고속도로가 4차로로 확장·개통됨과 동시에 명칭도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변경됐다.

국토교통부는 광주~대구고속도로 구간 중 유일하게 왕복 2차로로 남아있던 담양~성산 구간(143㎞)를 4차로로 확장 개통했다고 22일 밝혔다. 개통식은 이날 오후 3시 함양산삼골 휴게소에서 개최됐다.

개통식에는 강호인 국토교통부장관,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이낙연 전라남도지사, 송하진 전라북도지사, 홍준표 경상남도지사,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등 정·관계 인사와 지역주민 등 1200여명이 참석했다.

광주~대구고속도로는 2002년부터 3년간 실시설계를 추진해 2008년 11월 확장공사에 착수했다. 담양군과 순창군, 남원시, 장수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고령군 등 8개 시·군을 통과하는 고속도로로, 총 2조134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국토부는 이번 고속도로 개통이 동서 화합과 지역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제적인 효과로는 광주에서 대구까지 이동시간 30분 단축(132분→102분), 물류비용 연간 760억원의 절감이 예상된다.

과거 88올림픽고속도로는 우리나라 유일의 왕복 2차로 고속도로였다. 선형이 불량하고 중앙분리대가 없어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고속도로 평균의 1.6배에 달했다. 이에 국토부는 사업계획부터 준공까지 교통안전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우선 선형이 불량한 2차로 도로를 선형이 곧은 4차로 도로로 확장하고, 전 구간에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를 설치, 교차로도 평면에서 전구간 입체로 전환했다. 실시설계 과정에서는 교통안전전문가와 함께 설계심의 등을 4차례 이상 거쳤다. 공사 중에는 사전에 교통안전성평가를 실시하고 고속도로순찰대 등 관계기관의 협의와 검증도 빼놓지 않았다.

또 험준한 산악지형을 통과하는 만큼 안개에 대비한 안개시선유도등, 시정계 등을 설치하고, 터널에는 사고 발생시 차로를 통제할 수 있는 차로통제시스템(LCS)을 구축했다. 비탈면 붕괴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경보시스템도 설치했다.

이용자 편의를 위해 기존 3개(남원·지리산·거창)였던 휴게소를 5개(강천산·함양산삼골 추가)로 늘리고, 졸음쉼터도 5곳에 마련했다. 휴게시설 간격은 50㎞에서 25㎞ 이내로 단축 배치했다. 강천산 휴게소에는 주차장 캐노피도 설치했다.

이와 함께 지역밀착형 휴게소와 테마공간도 조성된다.

강천산 휴게소와 고추장마을 사이에는 지역 특산물 판매 증진을 위한 연결로와 홍보시설이 설치됐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지역특산물 단지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추진한 것이다. 함양군(나들목)에는 산양삼 홍보 테마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함양산삼골휴게소에는 고속도로 노선을 통과하는 8개 시·군의 농산물 직거래 장터를 주말마다 운영하는 지역문화 교류의 장이 마련된다. 선형개량으로 인해 발생한 폐도부지 71㎞(41곳)는 태양광 발전소 또는 생태축 복원로 설치, 지방도 등으로 최대한 활용했다.

국토부는 광주~대구고속도로에 고속주행 중에도 차량 번호판을 인식해 자동으로 통행료를 결제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을 2020년까지 도입하고,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는 2018년까지 시범사업 거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강호인 장관은 "광주~대구 고속도로가 확장 개통되면 영남과 호남간의 접근성이 개선돼 더 넓고, 빠르고, 안전한 동서화합의 길이 열릴 것"이라며 "8개 지자체를 통과하는 만큼 지역 경제와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특히 영호남 지자체간 협력 및 교류 사업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