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지금은 가격 올릴 타이밍"…두부·라면 '들썩'?

2015-12-18 01:27
정부 '물가 인상 정책' 발표에 식탁 물가도 뒤따를 듯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물건을 구입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 정부의 물가 인상 정책이 발표되자마자 식탁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정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2016년 경제정책방향에는 지금까지처럼 성장률은 높이되 물가는 낮게 관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성장률과 더불어 물가도 함께 끌어올리는 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이에 식품업계는 곧바로 가격 인상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다. 특히 그동안 물가 당국의 가격 통제로 인해 인상이 주춤했던 밀가루, 라면, 설탕, 콩나물, 두부, 유제품 업체들의 행보가 주목된다.

시민들은 안 그래도 서민 물가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는데 장 보기가 더 힘들어 지는 것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우선 소주값은 2013년 이후 하이트진로가 참이슬의 가격을 이달 초 5.6% 인상하면서 타 업체들도 따라가는 모양새다. 제주도 업체인 한라산소주도 최근 '한라산소주'와 '한라산 올래' 가격을 1114원과 1016원으로 각각 3.15%와 2.83% 인상했다. 업체 2위인 롯데주류의 처음처럼 가격도 조만간 인상이 예상된다.

원·부재료 비용 상승과 빈병 보조금 인상 정책 등에 따라 맥주 가격 인상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맥주 값은 2012년 하이트진로(5.93%)와 오비맥주(5.89%)가 가격을 인상한 이후 동결된 상태다.

2013년 이후 가격 상승이 멈춘 밀가루도 인상이 점쳐진다. 당시 대형 제분업체는 원재료 가격을 이유로 들며 밀가루 가격을 8%대로 올린 바 있다. 만일 밀가루 가격이 오르면 제과업체들의 가격 인상도 줄을 이을 것으로 보인다. 통상 제분업체들의 밀가루 값 인상 직후에는 라면·제과업체들이 가격인상에 나서곤 했다.

라면의 경우 가격 상승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전망된다. 2011년 말에 가격을 인상한 후 추가 인상이 멈췄기 때문이다.

설탕값의 경우 CJ제일제당과 삼양사 등이 2013년 3월 설탕 출고가격을 4~6%로 내린 뒤 조정이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밀가루, 설탕 값은 원재료인 원맥, 원당 가격이 오르기도 하고 안정되기도 하면서 등락을 거듭하다 최근 2년 사이 안정적이었다"고 말했다.

두부, 콩나물 가격도 초미의 관심사다. 대형 식품업체들은 18대 대선 전후인 2012년 말부터 2013년 초까지 두부와 콩나물 값을 10% 안팎으로 인상했다.

정부는 올해 초 수입콩 가격을 6년 만에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한 바 있다. 두부 생산 단체와 소비자들의 반대에 부딪혀 왔으나 정부의 새로운 물가 인상 기조에 따라 다시 인상을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수입콩 값이 오르면 두부와 콩나물, 식용유 등의 가격이 잇달아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우유값 인상은 쉽지 않아 보인다.

원유 재고가 남아도는 상황에서 가격을 올리면 매출이 더 하락할 우려가 있고, 원유가격 연동제로 인해 가격 책정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제도는 원유의 안정적 수급을 위해 원유 생산자(낙농가)와 우유업체가 2011년 말 합의해 2013년 8월부터 시행했다.

햄과 커피믹스, 냉동만두, 돈가스, 햄버거, 시리얼 등 주요 식료품들도 지난해 중순부터 올해 초까지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에 올리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이 대체로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원료 부족 등 특별한 이유없이 가격을 올렸다가는 비난 여론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