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20대 총선을 말한다] ②관전포인트-서울 키워드 ‘180·81·20·40’ 승부처
2015-12-15 00:00
[20대 총선을 말한다] ②관전 포인트-서울 “Occupy(점령하라) 중도·무당층”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이하 총선)가 4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2016년 4·13 총선을 시작으로, 2017년 19대 대통령선거(대선), 2018년 제7대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 등이 잇따라 열린다. 특히 차기 총선은 절차적 민주주의의 산물인 '87년 체제', 외환위기를 초래한 '97년 체제' 이후 새로운 질서를 가늠하는 이른바 '정초(定礎) 선거'가 될 전망이다. 고(故)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서거로 촉발된 민주화 시대의 역사 재평가작업과 맞물려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키는 국민이 쥐고 있다. <편집자 주>
"민심의 바로미터 '서울'을 잡아라." 서울지역은 20대 총선의 '최대 승부처'다. 보수·진보의 이념 색이 옅고 중도·무당파가 중첩해 있어 민심의 리트머스시험지로 통한다. 특히 서울에는 40대·화이트칼라와 더불어 '스윙보터'(특정 정당이 아닌 정책이나 이슈에 의해 움직이는 계층)가 많다. '안풍(安風·안철수 바람)'을 비롯해 역대 제3 후보 대망론이 수도권 특히 서울지역에서 시작하거나, 적어도 거점 역할을 했다. 이른바 '박근혜 마케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지역이라는 얘기다.
◆서울 48개 선거구, 전국 20%·수도권 43%
14일 현재 서울지역 선거구는 48개다. 246개 선거구의 20%를 차지한다. 112개 선거구인 수도권 빅3(서울·경기·인천)의 43%다. 역대 선거 때마다 어김없이 '수도권 필승론', '수도권 필패론'이 등장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여야 모두 '서울을 부탁해'를 외치는 이유다.
여기에 '안철수 탈당'이라는 메가톤급 변수까지 등장했다. 안철수 무소속 의원의 제1야당 탈당으로, 20대 총선은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로 치러질 공산이 한층 커졌다. 집권여당의 180석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경우 제1야당은 18대 총선(2008년)에서 차지한 81석이 기준선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과 제3지대 정당은 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20석 달성에 사활을 걸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판세가 20대 총선의 키워드 '180·81·20·40'의 승부처인 셈이다.
◆野 분열 땐 '패배' ↑… 與 '동남풍' 사활
본지가 14∼19대 서울 총선 결과를 분석한 결과, 총선 전선은 '흐름(바람) 대 구도(야권 분열)'의 대결이었다. 특정 바람이 핵심 변수였던 17대·18대 총선은 '노무현 대통령 탄핵'과 '뉴타운 바람'이 각각 선거 판세를 좌우했다.
17대 총선 당시 열린우리당(전체 152석)은 서울에서 32석을 차지, 압승했다.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121석)은 16석에 그쳤다. 18대 총선에선 한나라당(153석)이 서울에서 40석, 제1야당인 통합민주당(81석)은 7석, 창조한국당 1석 등이었다.
DJ의 평화민주당(평민당)과 노무현·이부영 등의 꼬마 민주당이 합당한 14대(1992) 총선에서는 민주당(97석)이 25석, 여당인 민주자유당(민자당·149석) 16석, 통일민주당 2석, 신정당 1석 등이었다.
DJ의 정계은퇴 번복으로 야권이 분열한 채 치러진 15대 총선(1996)에서는 신한국당 27석, 새정치국민회의 18석, 통합민주당 1석이었다. 전체 성적은 신한국당 139석, 새정치국민회의 79석이었다. 야권통합이 단행된 2000년 총선에선 새천년민주당 28석, 한나라당 17석으로 야권이 앞섰다. 다만 전체 성적은 한나라당이 133석으로, 새천년민주당(115석)을 앞섰다.
◆총선, 회고적 투표 ↑… 朴대통령 지지율 변수
범야권이 단일화로 맞선 19대 총선 서울 결과는 민주통합당 30석, 새누리당 16석 등으로 야권이 앞섰다. 반면, 전체 성적은 한나라당 152석, 민주통합당 127석으로 정반대였다.
다만 서울지역 정당득표율(새누리당 42.2%·민주통합당 38.1%)이 앞선 정당이 총선에서 승리한다는 공식만은 깨지지 않았다. 또한 용산구를 기준으로 동남쪽(강남·서초·송파·강동)이 전통적인 여권 텃밭 지역이라는 점도 변하지 않았다.
미래투표적 성격을 지니는 대선과 달리 '정권심판론' 등 회고적 투표 경향성을 가지는 총선의 경우 '구도'와 '흐름'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쪽이 사실상 이긴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20대 서울지역 총선 역시 야권발(發) 정권개편(구도)과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흐름)에 따라 '정권심판론이냐, 국정안정론이냐' 프레임 등이 결정될 전망이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안 의원의 탈당으로 일여다야 구도가 됐지만, 박 대통령 집권 4년차 때 치러진다는 점과 새정치연합 지지율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의 탈당이라는 점 등을 감안하면, 4·29 관악을 보궐선거 때의 야권 분열 양상으로 갈지는 미지수"라며 "결국 새누리당의 정당 지지율과 야권의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이 판세의 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