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워지는 일본과 인도 "중국 견제"

2015-12-13 17:00

[사진=나렌드라 모디 총리 트위터 ]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일본이 중국을 제치고 인도에 첫 고속철도를 건설하게 됐다. 인도를 방문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12일 (이하 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 후 인도 서부 마하라슈트라주 뭄바이와 구자라트 주 아메다바드 505㎞ 구간에 일본의 신칸센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이 13일 보도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11일부터 2박3일 일정으로 인도를 방문했다. 양국은 고속철 투자 협력을 비롯 원자력 발전소 건설, 인력 교류 확대, 군사장비 기술 이전 등 경제·안보 측면에서도 폭넓은 협정을 체결했다.

믐바이-아메다바드 고속철은 150억달러(약 17조7000억원) 정도가 투자 비용이 예상된다. 이에 일본은 건설비용의 80%인 120억달러 규모의 차관과 기술을 인도에 지원한다. 차관은 연 0.1∼0.5% 이율에 50년 상환 조건이 될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지난해 8월 모디 총리 방일 당시 아베 총리는 인도에 5년간 공적개발원조(ODA)를 포함해 3조5000억엔(약 34조원) 규모 민·관 투자와 융자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아베 총리는 공동 기자회견에서 "일본과 인도의 새시대를 여는 데 어울리는 프로젝트이다. 신칸센이 인도의 다른 철도 노선에도 도입될 것을 매우 기대한다"고 밝혔다. 모디 총리는 "고속철은 인도 경제의 변화를 가져오고 인도 철도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의 원자력발전소 건설에도 일본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두 정상은 일본의 원전 기술 공여를 가능하게 하는 원자력 협정 체결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핵무기를 보유한 인도는 현재 핵무기비확산조약(NPT)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일본이 NPT 비회원국과 원자력협정을 체결한 것은 처음이다.

아베 총리는 "일본의 (원자력 기술) 협력은 평화적 목적에 한정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5년 동안 원자력발전 기술 협력에 있어 일본이 인도에 핵실험을 완전히 중단할 것을 요구하면서 합의를 제대로 도출하지 못했었다. 

양국 정상은 또 군사 장비 및 기술 이전에 관한 협정에도 합의했다. 이로 인해 인도가 원하는 일본 해상자위대 구난 비행정 'US-2'의 인도 수출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양국이 다방면에서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아시아 지역에서 커지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라고 월스트리트저널 (WSJ) 등 외신은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