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역사교과서 집필진 47명 확정…30명은 초빙
2015-11-23 16:22
국사편찬위원회는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국정역사교과서 집필진 공모에 응모한 인원이 교수ㆍ연구원 37명, 현장교원 19명 등 총 56명으로 이 가운데 17명을 중ㆍ고등학교 교과서 집필진으로 최종 선정하고 30명은 초빙했다고 23일 밝혔다.
집필진은 중학교 역사①, 역사②(교사용 지도서 포함) 집필진은 26명, 고등학교 한국사 집필진은 21명 등으로 현대사를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게 서술하기 위해 정치ㆍ경제ㆍ헌법 등 인접 학문 전문가가 참여했다고 편찬위는 설명했다.
편찬위는 기존의 검정교과서 보다 많은 집필인력과 학계의명망 높은 전문가로 집필진을 구성함해 최신 연구결과 등 역사적 통설을 검토ㆍ반영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눈높이에 맞도록 교과서의 체제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해 올바른 역사교과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편찬위는 또 집필진들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집필에 전념할 수 있는 집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명단 공개 시기와 방법은 집필진과 논의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편찬위는 기존 검정 역사교과서 집필진 명단도 검정기관의 심의를 통과 후 단위학교의 채택을 위한 전시본에서 최초 공개했으며 초등 국정도서의 경우도 교과서 집필이 끝난 후 현장검토 과정에서 집필진을 공개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향후 교과서 집필은 대표 집필자를 중심으로 과목별, 시대별 집필진이 협조해 내용의 완성도를 높이는 가운데 교과서 내용의 오류와 편향성에 대한 우려를 일소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편찬위는 강조했다.
편찬위가 집필진을 다수 선정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다수가 참여한다고 해서 내용이 꼭 좋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고교 한국사의 경우 국정 교과서 집필진은 기존 검정 교과서의 2배가 넘는 인원이다.
현행 검정교과서의 경우 중학교 역사 집필진은 최소 8명(교학사)부터 최대 20명(두산동아) 등 평균 12.4명,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는 최소 5명(리베르)에서 최대 9명(천재교육) 등 평균 7.4명으로 구성됐다.
기존 검정교과서에 집필진 7명 정도가 투입되던 것은 최적화된 인원이 그 정도이기 때문으로 국정역사교과서에 집필진을 대거 투입한다고 해서 좋은 교과서가 나오리라는 보장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다수의 집필진을 투입하는 것이 오히려 서로 문체가 다르고 견해가 달라 오히려 혼선이 올 수 있고 시간을 지연시키면서 집필을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내년 말까지 교과서를 완성하기 위해 집필인력을 대거 투입한다고 해서 시간부족 문제가 자동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집필진이 많이 투입된다고 해서 내용이 올바르게 기술된다는 보장도 없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과 진 편사부장, 박한남 기획실장 위주로 초빙에 나섰던 가운데 원로 학자들이나 동북역사재단 등 국책연구소 연구원들이 집필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정도 나온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집필진을 30명 정도로 대거 초빙한 것은 역사학자들의 집필거부 확산으로 애초에 공모가 저조할 것이 예상됐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25명을 목표로 한 공모 과정에서 실제로는 17명을 선발했을 뿐이다.
집필진을 공개하지 않고 국정역사교과서를 만들 경우 편향된 내용으로 채워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명단을 공개하지 않을 경우 그만큼 책임감이 떨어지고 통설을 반영하기 보다는 특정 시각을 쓸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미 손을 떠난 상태에서 집필을 마감한 다음 명단을 발표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느냐는 지적이다.
집필 학자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 내부에서 논란이 발생하는 경우 주도 학자를 따라가기 쉽고 이견이 있을 경우 항변하기도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사편찬위원회가 당초 집필진 구성에서 균형을 맞추겠다고 하면서 집필진을 공개하겠다고 했다가 대표집필진을 밝히겠다며 후퇴를 한 뒤에는 다시 집필에 불편이 없도록 일단은 비공개로 하고 차후 공개를 검토하겠다고 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밀실 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역사학자들이 대거 집필거부를 공표한 가운데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워지면서 비공개 방침으로 돌아선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정역사교과서 집필진에 교학사 교과서를 썼던 뉴라이트 성향의 학자들이 포함됐을지도 관심이다.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등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개발에 참여했던 뉴라이트 성향의 학자들이 국정역사교과서 집필진에 들어 있을 지 주목된다.
부실 편향 논란이 있었던 교학사 교과서 집필진이 국정역사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것으로 드러나는 경우 편향성 논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학사 교과서는 일제시대의 쌀 수탈을 '수출'로 표현하고 독립군 토벌을 ‘성공’했다고 표현하는 등 식민지근대화론이 묻어나면서 편향 논란이 일었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국정역사교과서 집필진을 더 이상 공개하지 않기로 선회한 것도 논란을 피하기 위한 방침으로 해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