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전쟁' 이번주 최대 고비…여야 '고시강행' vs '결사저지'

2015-10-26 03:26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역사교과서 국정화 이견으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원내대표간 청와대 5자 회동이 사실상 ‘빈손 회담’으로 끝나면서, 여야는 이번주를 ‘국정화 전쟁'의 최대 고비로 삼고 저마다 화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여당은 다음달 2일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 발간 확정고시에 앞서 국정화에 쐐기를 박겠다는 전략인 반면, 야당은 거세진 국정화 반대 여론을 등에 엎고 결사항전의 자세로 이번 논란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각오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이견으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원내대표간 청와대 5자 회동이 사실상 ‘빈손 회담’으로 끝나면서, 여야는 이번주를 ‘국정화 전쟁'의 최대 고비로 삼고 저마다 화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지난 15일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이 국회 로텐더홀에서 이념편향 역사 교과서를 규탄하는 결의문을 발표한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제공=새누리당]


여야 총력전의 분수령은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 본회의 예산안 시정연설을 예고한 27일이 될 전망이다. 이날 박 대통령은 경제활성화 법안의 조속한 처리 등을 국회에 당부하면서 앞서 5자 회동에서 강조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의지를 밝혀 여론전을 전면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이날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전후해 야당이 국정화에 몰두하느라 민생을 외면하고 있다는 논리로 ‘민생 정치’ 여론전을 펼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사편찬위원회 등 전문가에게 국정화 문제를 일임하고, 국회는 민생현안과 경제활성화에 몰두해야 한다며 관련 세미나를 열 계획이다.

당장 26일에는 친박(親朴)계 의원들이 주도하는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이 국정화 지지 모임 세미나를 열어,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왜 필요한가’를 주제로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강연에 나선다.

특히 여당은 교육부의 확정고시 발표 일정에 발맞춰 여론화에 속도를 맞출 예정이다. 다만 당 일각에서는 국정화 이슈에 집중하면 할 수록 수도권 표심이 떨어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 화력 조절을 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정부가 내달 확정고시를 강행하면 국정화를 막을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 그전에 반대 여론화에 당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국회 안팎에서 국정화 저지 투쟁을 전개하는 동시에 야권 및 시민사회단체와의 연대전선도 공고히 할 방침이다. 사진은 문재인 대표,이종걸 원내대표를 비롯한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지난 12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결의대회를 가지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제공=새정치민주연합]


반면 야당은 정부가 내달 확정고시를 강행하면 국정화를 막을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 그전에 반대 여론화에 당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국회 안팎에서 국정화 저지 투쟁을 전개하는 동시에 야권 및 시민사회단체와의 연대전선도 공고히 할 방침이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천정배 무소속 의원 등 3자 연석회의는 25일 오후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한국사 교과서 ‘진실과 거짓’ 체험관을 열고, 정부·여당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에 공동행보를 이어갔다.

여기에 시민사회단체까지 참여하는 ‘4자 연석회의’로 전선을 확대할 경우, 국정화를 둘러싼 여야 대립각은 이번주 최대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은 26일에는 안중근 의사 의거 106주년 기념일을 맞아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안 의사 가묘 등을 참배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확인하며 정부의 좌편향 논리에 맞불을 놓을 예정이다.

또한 박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 당일인 27일 저녁에는 광화문광장에서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국정화 말고, 국정을 부탁해’ 문화제를 열고 국정화 반대 총력전에 나선다. 오는 28일에는 국회에서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등 시민사회단체 등과 ‘만민토론회’를 개최, 국정화 반대 4자 연석회의로 연대전선을 넓힌다.

다만 새정치연합 일각에서도 연말 예산안 처리 등을 앞두고 국정화에만 몰두할 경우 ‘민생 외면 정당’으로 낙인 찍힐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전면적인 장외 투쟁보다는 좀 더 세밀한 대국민 여론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