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LNG선' 경쟁온도 상승 중...아시아 조선·해운업계 선점 움직임 급물살

2015-10-05 15:54

LNG선. [사진 = 대우조선해양 홈페이지]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해양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 제고와 국제사회의 선박 해양오염 규제 강화로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추진 선박이 글로벌 조선 및 해운업계의 강력한 성장 아이템으로 떠올랐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들의 친환경 LNG선 개발 의지 또한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을 둘러싼 경쟁도 가열되고 있다. LNG선 도입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현 시점에서 LNG 추진선 및 LNG 벙커링 개발을 통한 경쟁력 향상은 우리나라 업계가 반드시 넘어서야 할 또 다른 과제로 남겨지게 됐다. 

지난 몇 년간 LNG선 개발 분야에 있어 가장 눈에 띄는 행보를 보여온 국가는 단연 중국이다. 중국은 오는 2020년까지 내륙수운용 선박 에너지원 중 LNG 비중을 10% 이상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관련 산업을 적극 육성시키고 있다.

중국 기업들의 적극 대응도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장쑤대진중공유한공사(江蘇大津重工有限公司), 상하이녹색동력수상운수유한공사(上海綠色動力水上運輸有限公司), 상하이가호선박과기발전유한공사(上海佳豪綠色動力運輸有限公司), 민생은행(民生銀行) 등은 지난해 8월 6억5000만 위안(한화 약 1200억원) 규모의 내륙운하용 LNG 추진선 200척 공동건조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3월까지 이미 6척이 건조됐고, 현재 45척이 건조 중이다.

아울러 충칭(重慶), 장쑤(江蘇), 저장(浙江), 광시(廣西), 산둥(山東) 등 지역에서도 각각 1~9척의 LNG 추진선 건조계획을 발표했거나, 이미 건조를 완료한 상태다.

핀란드의 해양 전문 컨설팅 기관인 시하우(SeaHow)는 2017~2020년을 중국의 LNG 추진선이 급증해 중국의 내륙운하용 선박 약 1만4000척 가운데 80% 정도가 LNG 추진선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싱가포르 또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 속에 LNG선 영역에서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싱가포르 해운항만청(MPA)은 지난해 10월 LNG 추진선에 대해 한 척당 200만 달러(약 23억450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최근에는 LNG 추진선 및 개발 촉진을 위해 844만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LNG선 개발 관련 업체들은 이 펀드를 통해 LNG 배 한 척당 최대 14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기업들의 참여도 활발해 싱가포르의 최대 조선·해양플랜트 업체인 케펠(Keppel)은 최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생산설비(FLNG) 산업 확장에 특히 눈독을 들이고 있다. 케펠은 전세계 내륙 LNG 터미널의 비용증가와 함께 FLNG 산업이 오는 2020년까지 65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은 최근 LNG 운반선 분야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며 재도약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990년대 관련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자랑했던 일본은 조선설비 확장 및 엔고, 원화 약세를 배경으로 빠르게 성장한 한국에 주도권을 빼앗긴 상태다. 대표적으로 미쓰비시 중공업은 최근 연료 효율을 높인 최신식 LNG 운반선을 건조 중이고, 일본 선박회사 저팬마린유나이티드와 IHI중공업은 20년 만에 독자적 탱크 설계 기술인 SPB를 사용한 대형 LNG 운반선 건조를 재개했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는 2025년까지 LNG연료 추진선 수주율을 70%까지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책정하고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1년 개발한 아시아 최초의 LNG 연료 추진선인 200t급 에코누리호를 보유하고 있고, 연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인프라도 어느 정도 갖춰져 있다. 하지만,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LNG 추진선 개발에 있어 다소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기업과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조선 및 해운업계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LNG 추진선 건조 및 LNG 벙커링 프로젝트의 성공적 개발이 절실하다"면서 "LNG 선박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절한 지원방안 외에 민영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지속되는 유가하락세, 관련 인프라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선주들이 참여를 꺼리고 있다"면서 "LNG 추진선 사업이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LNG 추진선의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같은 문제들이 우선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