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맞은 한국 조선업계 구조조정...확대되는 고용불안
2015-09-21 14:58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불황의 암초를 만난 국내 조선업계가 본격적인 고강도 구조조정에 착수하면서, 고용불안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업체들은 가뜩이나 얽혀있는 노사관계 악화를 우려해 인력 보다는 사업 구조조정을 통한 경영위기 타개에 나서겠다고 밝힌 상태나, 업계에서는 이같은 대규모 구조조정의 마지막 조치는 결국 인력감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선사 고용 인력의 60%를 차지하는 사내하청 인력의 고용불안은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 최근 하청업체들은 일감부족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해양플랜트 사업의 수주 물량이 씨가 마른 상황에서 대규모 영업손실 및 노조파업 등으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상선 발주마저 줄고 있어서다.
현재 이같은 위기에 처한 사내 하청 노동자는 13만명 이상에 달한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산업협회가 9개 회원사와 비회원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이들 조선업체가 고용한 사내 하청 노동자는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 2010년 8만6810명이었던 사내 하청 노동자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해양플랜트 사업이 러시를 이뤘던 지난 2012년 10만2308명, 지난해 13만4843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의 경우 전체 고용 인력 중 하청노동자의 비중은 60%에 달해 직영노동자(22%)와 현격한 차이를 나타냈다.
현재 각 사별로 해양플랜트 사업 비중은 40~60% 정도에 달한다. 다른 사업에 비해 더 많은 엔지니어를 필요로 하는 해양플랜트 산업의 확대는 노무비가 적게 드는 대규모 하청인력 투입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해양플랜트 사업은 올 상반기에만 8조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하며 조선업계의 '적자무덤'으로 떠올랐다. 이들 3사가 경영 정상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해양플랜트 사업을 회복시켜야 하나 단기간 내 이 같은 부진을 털어내기는 쉽지 않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결국 해양플랜트 사업 규모 축소가 불가피해지면서 하청업체의 폐업과 이에 따른 노동자들의 일자리 부족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지게 됐다.
업계에서는 해양플랜트 등 대형수주가 1건 줄어들 때마다 협력사를 포함해 수 천 명의 인력이 남아도는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조선업 대표 3사가 일제히 감원에 나설 경우 최대 2000~3000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