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금융권 CEO 연봉반납 '반짝'이벤트 되지 않으려면

2015-09-13 07:00

[박선미 금융부 기자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KB금융·신한·하나금융 등 지주사 최고경영자(CEO)들이 물꼬를 튼 '연봉반납' 움직임이 화두다. BNK·JB·DGB금융 등 지방지주사들도 동참했고, 은행장들도 자진반납키로 했다. 은행을 넘어 금융지주 산하 증권사로까지 퍼질 조짐이다. CEO들의 연봉반납으로 조성된 재원은 신규채용 확대를 위해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연봉반납 움직임을 극찬하는 소리가 들린다. 물론 뒷말도 무성하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가 직간접적으로 압력을 넣었다는 것이다. CEO 뿐 아니라 임원으로까지 확대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시각도 보인다.

그러나 그 배경이 뭐가 됐든 청년실업 문제를 함께 고민하자는 의도는 환영할 만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청년 실업률은 9.4%로, 전체 실업률(3.7%)의 2.5배 수준이다. 청년 10명 중 1명은 실업 상태라는 얘기다. 6월에는 청년 실업률이 10.2%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CEO들의 연봉반납 움직임에 대해 괜히 '노블레스 오블리주' 라는 평가가 나오는 게 아니란 소리다.

다만 이같은 연봉반납이 반짝 이벤트로 끝날까 우려된다. 이미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비슷한 일을 경험했던 터다. 당시 주요 금융지주 전반에서 임금을 삭감해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했지만 흐지부지 끝났다. 이번에도 반납 재원은 계열사 인턴, 신입사원, 경력직 사원 등 모두 신규 채용에 쓰인다고 했지만 인턴 채용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제는 "연봉 반납해 일자리 창출에 앞장선다"고만 알리기 보다는 CEO들이 선뜻 내놓은 연봉을 구체적으로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또 추후에도 실제로 어디에 쓰였는지를 알려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