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우신염 방치하면 패혈증으로 사망...예방법은?

2015-07-13 10:14

[사진='MBC 뉴스투데이' 영상 캡처]

아주경제 이진 기자 = 신장에 염증이 생겨 통증과 고열이 발생하는 ‘급성 신우신염’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급성 신우신염은 여름철에 여성이 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급성 신우신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1~4월 평균 1만 5000명대를 유지하던 환자 수는 5월부터 늘기 시작해 7월 1만 9891명, 8월 2만 162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했고 10월부터 줄어 11월에는 평상시 수준으로 돌아왔다.

지난해 병원 진료를 받은 급성 신우신염 환자는 여성이 15만 611명, 남성이 2만 2488명으로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6.7배 많다. 20대와 30대, 40대 여성 환자는 각각 남성 환자의 14.6배, 11.4배다.

급성신우신염은 신장이나 신우의 세균 감염으로 염증이 생겨 나타나는 질환이다. 요도염이나 방광염 등으로 요로 쪽에 생긴 감염이 더 진행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대장균 등이 이 질병의 원인균으로 꼽힌다. 여성은 요도가 짧아 감염에 취약하고 중장년층의 경우엔 폐경으로 호르몬 균형까지 무너지기 때문에 잘 감염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급성 신우신염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패혈증이 생겨 사망할 수도 있다. 고령의 환자나 임신부,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는 방광염이 신우신염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커 증상이 없는 방광염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만성 신우신염이 반복되면 신장 기능이 영구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예방책으로는 몸 안의 세균을 자주 배출할 수 있도록 평소에 물을 많이 마시고, 위생관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게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