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항공 10년] ③ 항공정비(MRO)로 안전 ‘퀀텀점프’

2015-07-01 17:00

[그래픽=임이슬 기자]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국내 저비용항공사(LCC·Low Cost Carrier)에게 있어 ‘안전’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된다. ‘저가’라는 이미지 때문에 안전면에서 투자를 소홀히 할것이라는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런 지적에 LCC업계 관계자들은 “저비용항공사지만, 안전면에서 저비용을 추구하지는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꾸준히 제기되는 문제는 항공정비(MRO)이다. MRO산업은 항공기 운항의 안전을 보장하는 주기적 항공기 검사·분해·수리·정비 등을 아우른다. 

국내 LCC업계 정비인력은 제주항공 220명, 티웨이항공 113명, 이스타항공 79명, 진에어 29명, 에어부산 23명이다. 진에어와 에어부산은 각각 모(母)기업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정비를 위탁한다. 실제 현장 정비인력이 아닌 정비관리·행정 및 탑승정비 인력이 대부분으로 타사보다 적은 편이다.

문제는 나머지 3곳 LCC들이 해외에서 중정비를 해결한다. 일상적인 정비는 상주 직원이 담당하지만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은 중정비를 중국, 대만, 싱가폴 등 해외 MRO 업체에 맡긴다. 수입차 오너가 정기점검을 국내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유럽까지 가서 수리하는 셈이다.

해외에서 정비를 위해 왕복 유류비를 감당해야하고, 그 시간동안 여객을 실어 나를 수 있는 기회비용 등이 발생해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국내 LCC업체들이 중정비를 국내에서 진행하고 싶어도 마땅한 MRO단지가 조성돼있지 않다는 점이다.

대한항공은 김포 ,인천, 김해, 부천 격납고 및 엔진정비공장에서 자사 항공기 151대와 자회사인 진에어 기재 13대를 소화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인천 1·2, 김포 격납고에서 자사 항공기 86대, 에어부산 기재 14대를 정비한다.

이들 대형사 격납고에서 중정비가 가능해도 3곳 LCC가 위탁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LCC업계 관계자는 “경쟁사이기도 하고 설상 맡겼다고 해도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어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국내 LCC 산업이 발전하려면 국내에서 중정비를 소화할 수 있는 MRO 단지가 조성돼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국토교통부가 MRO 유치에 나섰다. 현재 경남 사천과 충북 청주가 2파전을 형성 중이다.

충북도와 청주는 항공정비 물량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청주는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등 여객기 121대를 정비물량으로 확보했다.

경남도와 사천은 국내 유일 항공기 제조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손잡았다. KAI는 본사가 있는 사천 주변에 관련부품 업체와 부지조성이 유리하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해외에 수출중인 T-50, FA-50 등에 대해 후속 서비스로 MRO패키지를 판매 중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내 LCC업계도 MRO 단지가 조성되면 중정비를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소화할 수 있어 반기고 있다”며 “지자체간 정치적 논리에 좌우되기보다 MRO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곳에 기회를 줘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