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유행' 막으려면…의료전달체계 재정립·과도한 문병문화 개선 시급
2015-06-23 03:22
병간호·높은 다인실 비중
대형병원 쏠림 현상도 지적
"위기대응 매뉴얼 재정비를"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이번 메르스 사태는 우리 정부의 부실한 감염병 대응 능력을 고스란히 보여준 사건이었다. 정부의 '헛발질'로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계 2위 메르스 발생국이 됐을 정도다.
22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이날까지 172명의 메르스 환자를 발생했고 이 가운데 27명이 메르스와 싸우다 목숨을 잃었다. 이는 정부의 신종 감염병에 대한 이해 부족과 불통이 낳은 결과로, 이것부터 먼저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감염병 전문가인 마가렛 찬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감염병은 시의적절한 정보 공개와 지역사회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최고 병원으로 꼽히던 삼성서울병원에서만 81명의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것도 이 때문이다.
대한의사협회는 "공중보건 위기대응체계 개선만으론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며 "붕괴된 의료전달체계를 재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공의료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보면 2011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00명당 공공병상 수는 1.19개로 24개 회원국 평균인 3.25개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한미정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사무처장은 "민간 병원이 활용도가 낮은 격리병상 등에 투자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공공의료시설마저 부족해 메르스처럼 전염성이 높은 질병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위기대응 매뉴얼을 새로 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전 질병관리본부장인 이종구 서울대글로벌의학센터장은 "현재는 감염병 위기대응단계가 '경계' 이상이어야 범정부 차원의 재난대응체계가 가동된다"며 "메르스 사태가 해결된 후 이 부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