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수교 50주년…韓日 하늘길 반세기
2015-06-21 14:20
국적항공사 국제선 첫 취항지는 일본 노선
한일노선, 대형사 운항 중단 vs LCC 취항 활발
한일노선, 대형사 운항 중단 vs LCC 취항 활발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한일수교 50주년의 역사속에 양국간 하늘길도 반세기를 바라보고 있다.
국교 정상화 이후 한일 하늘길이 본격적으로 열렸고, 복수민항시대와 저비용항공사(LCC)의 등장으로 양국간 수송은 활발해졌다. 특히 ‘가깝고도 먼 나라’라는 말로 대표되는 한일 관계에서 다른 나라의 비행기 노선보다 정치‧외교 관계에 따라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 국적항공사 국제선 첫 취항지는 일본 노선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국적항공사의 국제선 첫 취항지는 모두 일본노선이었다.
최초 한일간 정기여객은 서울~오사카 노선이었다. 1964년 3월 17일 민영화 전 대한항공(KAL)이 띄운 오사카행 F27기가 포문을 열었다. 같은 해 4월에는 일본항공(JAL)이 도쿄~서울 노선이 취항했다.
당시 양국은 JAL이 서울~도쿄 노선에 취항하는 대신 KAL은 서울~오사카, 부산~후쿠오카 두 노선을 맡기로 결정했다. 당시 황금노선은 일본이, 변두리 지방노선은 한국이 취항한 것은 일본측의 ‘꼼수’라는 지적이 일었다.
우여곡절 끝에 KAL도 1968년 7월 25일 115명 규모의 제트여객기 DC-9에 승객 62명을 태우고 서울~도쿄 노선에 첫 취항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1989년 해외여행이 완전 자유화되면서 9월 한일항공협정체결로 한일 하늘길은 활짝 열렸다.
복수민항시대를 연 아시아나항공은 1990년 1월 서울~도쿄 노선이 첫 취항하며 KAL이 독점하던 한일노선에 뛰어들었다. 이후 국내에 LCC(저가항공)시대가 열렸다. 제주항공이 창립 3년만인 2008년 7월 1일 제주~히로시마 노선에 부정기편으로 첫 국제선 운항을 개시했다. 이듬해에는 인천·김포~오사카 등에 정기노선편으로 잇달아 취항했다.
현재 일본행 노선에 대한항공 11개, 아시아나항공 19개를 운항 중이며 노선 별 매출에 각각 11%, 13%의 수익을 내고 있다. 제주항공의 경우 전체노선 24개 중 8개가 일본 노선으로 전체 3분의 1에 해당되는 주요 노선으로 자리 잡았다.
◆ 한일노선, 대형사 운항 중단 vs LCC 취항 활발
한일노선 항공여객은 엔저현상과 방사선 피해 우려, 한일관계경색 등으로 어느 노선보다 양국간의 정치·외교적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국제선 중 한일 노선만 2년 연속 유일하게 전년 대비 감소세가 계속했다. 2012년 1152만명에서 2013년 전년대비 4.9%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도 1.6% 감소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1분기 일본노선 매출이 전년대비 24% 줄었다. 이에따라 오는 10월25일부터 최근 제주와 일본을 잇는 직항 노선 운항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1981년 제주~오사카, 2002년 제주~도쿄 노선에 취항한지 각각 34년, 13년 만이다. 앞서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제주~나고야, 아시아나항공은 9월 제주~후쿠오카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
반면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LCC들은 오사카, 오키나와 등 한국인 관광 수요가 대부분인 일본 노선에 잇달아 신규 취항했다. 엔저를 틈타 일본 관광 수요 증가를 노린 것이다. 특히 오키나와 노선의 경우 1992년 아시나아항공이 취항해 독점 노선으로 운항됐지만 2012년 진에어, 2014년 말 제주항공, 티웨이항공이 뛰어들며 4파전이 됐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엔저와 LCC들의 취항으로 공급좌석이 늘자 내국인의 일본행 여행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여행객들이 짧은 도시간 이동은 대형항공사보다 LCC를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교 정상화 이후 한일 하늘길이 본격적으로 열렸고, 복수민항시대와 저비용항공사(LCC)의 등장으로 양국간 수송은 활발해졌다. 특히 ‘가깝고도 먼 나라’라는 말로 대표되는 한일 관계에서 다른 나라의 비행기 노선보다 정치‧외교 관계에 따라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 국적항공사 국제선 첫 취항지는 일본 노선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국적항공사의 국제선 첫 취항지는 모두 일본노선이었다.
최초 한일간 정기여객은 서울~오사카 노선이었다. 1964년 3월 17일 민영화 전 대한항공(KAL)이 띄운 오사카행 F27기가 포문을 열었다. 같은 해 4월에는 일본항공(JAL)이 도쿄~서울 노선이 취항했다.
당시 양국은 JAL이 서울~도쿄 노선에 취항하는 대신 KAL은 서울~오사카, 부산~후쿠오카 두 노선을 맡기로 결정했다. 당시 황금노선은 일본이, 변두리 지방노선은 한국이 취항한 것은 일본측의 ‘꼼수’라는 지적이 일었다.
우여곡절 끝에 KAL도 1968년 7월 25일 115명 규모의 제트여객기 DC-9에 승객 62명을 태우고 서울~도쿄 노선에 첫 취항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1989년 해외여행이 완전 자유화되면서 9월 한일항공협정체결로 한일 하늘길은 활짝 열렸다.
복수민항시대를 연 아시아나항공은 1990년 1월 서울~도쿄 노선이 첫 취항하며 KAL이 독점하던 한일노선에 뛰어들었다. 이후 국내에 LCC(저가항공)시대가 열렸다. 제주항공이 창립 3년만인 2008년 7월 1일 제주~히로시마 노선에 부정기편으로 첫 국제선 운항을 개시했다. 이듬해에는 인천·김포~오사카 등에 정기노선편으로 잇달아 취항했다.
현재 일본행 노선에 대한항공 11개, 아시아나항공 19개를 운항 중이며 노선 별 매출에 각각 11%, 13%의 수익을 내고 있다. 제주항공의 경우 전체노선 24개 중 8개가 일본 노선으로 전체 3분의 1에 해당되는 주요 노선으로 자리 잡았다.
◆ 한일노선, 대형사 운항 중단 vs LCC 취항 활발
한일노선 항공여객은 엔저현상과 방사선 피해 우려, 한일관계경색 등으로 어느 노선보다 양국간의 정치·외교적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국제선 중 한일 노선만 2년 연속 유일하게 전년 대비 감소세가 계속했다. 2012년 1152만명에서 2013년 전년대비 4.9%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도 1.6% 감소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1분기 일본노선 매출이 전년대비 24% 줄었다. 이에따라 오는 10월25일부터 최근 제주와 일본을 잇는 직항 노선 운항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1981년 제주~오사카, 2002년 제주~도쿄 노선에 취항한지 각각 34년, 13년 만이다. 앞서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제주~나고야, 아시아나항공은 9월 제주~후쿠오카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
반면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LCC들은 오사카, 오키나와 등 한국인 관광 수요가 대부분인 일본 노선에 잇달아 신규 취항했다. 엔저를 틈타 일본 관광 수요 증가를 노린 것이다. 특히 오키나와 노선의 경우 1992년 아시나아항공이 취항해 독점 노선으로 운항됐지만 2012년 진에어, 2014년 말 제주항공, 티웨이항공이 뛰어들며 4파전이 됐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엔저와 LCC들의 취항으로 공급좌석이 늘자 내국인의 일본행 여행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여행객들이 짧은 도시간 이동은 대형항공사보다 LCC를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