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서울서 일본 세계유산 등재 협의…'강제노동 명시' 어떻게 하느냐 쟁점

2015-06-10 08:00
세계유산위 '전체역사' 권고이행 본격 논의…분수령 전망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한일 양국이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놓고 서울에서 설전을 벌였지만 이렇다할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실패했다.

한국과 일본 두 나라는 9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2차 양자 협의를 갖고 유네스코가 권고한 강제 노동 명시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일본 측이 얼마나 진전된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향후 논의 진척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이번 협의에 양국에서 거는 기대가 컸다. 

그러나 이날 협의에서도 일본 산업시설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자행된 사실을 어떻게 반영하느냐를 놓고 한일 양국이 팽팽한 논리 싸움을 벌인 채 서로의 의견 차이만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종문(오른쪽) 유네스코 협력대표와 신미 준 일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한.일 양국 대표로 메이지시대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를 놓고 양자협의를 하기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이는 지난달 22일 도쿄에서 열린 1차 협의에 이어 두번째 협상이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이날 협의는 지난달 22일 도쿄에서 개최된 1차 양자협의에 이어 2주일 만에 열린 후속 협의다.

1차 협의와 마찬가지로 우리 측에서 최종문 유네스코 협력대표가, 일본 측에서 신미 준(新美潤)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 겸 스포츠담당대사가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우리 정부는 세계유산위원회가 등재 결정문 원안에서 이미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라"고 일본에 권고하고 있는 만큼 이를 실현할 구체적 방안이 담보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체 역사' 권고는 일본이 등재 신청시 한정한 시기(1850∼1910년)를 넘어서 1940년대에 집중됐던 조선인 강제노동을 가리킨다는 게 우리 정부의 인식이다.

정부는 기본적으로 일본이 등재 신청한 23개 산업시설 중 강제노동이 이뤄진 7곳이 세계유산에서 제외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종문(왼쪽 두번번째) 유네스코 협력대표와 신미 준(오른쪽 첫번째) 일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한.일 양국 대표로 메이지시대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를 놓고 양자협의를 하고 있다. 이는 지난달 22일 도쿄에서 열린 1차 협의에 이어 두번째 협상이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등재 자체를 막기 어렵다면 결정문에 강제노동 사실이 더 분명히 반영되도록 문안을 구체화하거나, 별도 기념물 등의 형태로 드러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 내부에서는 표결까지 가는 위험 부담을 안기보다는 한국과 타협하자는 견해와 '한국의 주장을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론이 공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이 등재 신청한 규슈·야마구치 지역의 이른바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유산' 가운데 하시마(端島) 탄광 등 7곳에서 과거 약 5만8천명의 조선인이 강제 노역을 했다.

이들 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이달 28일부터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