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2기 삼척 or 영덕에 '추가건설'…"석탄비중 줄이고 원전·신재생 높여"

2015-06-08 12:27
산업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국회에 제출
기후변화 대응, 석탄줄이기 등 영흥·동부하슬라 '철회'

[출처=산업통상자원부]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 정부가 오는 2029년까지 150만kW급 신규 원자력발전소 2기를 건설키로 했다. 아울러 석탄비중은 줄이되,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5배 늘리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7차 전력수급계획’을 국회에 제출했다. 계획에 따르면 신규원전 규모는 각 150만kW인 총 300만kW로 2028년과 2029년 건설할 계획이다.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신규물량 원전 입지는 대진(삼척) 1·2호기나 천지(영덕) 3·4호기로 건설 의향서가 제출될 예정이다. 이에 대한 최종입지는 2018년경 발전사업 허가 단계를 통해 확정된다.

특히 지난 전력수급계획 때와 비교하면 석탄 비중을 줄이고 원전과 신재생 비중을 높이도록 했다. 이미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됐던 석탄화력설비 중 고체연료·송전설비 등 문제로 허가받지 못한 영흥(174만kW)·동부하슬라(200만kW)는 철회키로 했다. 대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신규설비물량인 원전 2기(300만kW)가 이를 충당한다.

이는 온실가스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처사로 40년 이상 가동된 장기가동 석탄화력 설비의 대체건설은 환경성이 개선되는 경우에 한해 허용할 방침이다.

즉, 2027년 원전(27.4%)은 28.5%로 늘어나고 신재생도 4.5%에서 4.6%로 증가되는 셈이다. 석탄의 경우는 34.7%에서 32.2%로 감소될 계획이다.

특히 지난 6차 수급계획과 비교해서는 석탄 비중이 2.5%포인트 감소하는 수준이나 원전·LNG·신재생 비중에서 각각 1.1%, 0.4%, 0.1%포인트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신재생 확대보급을 지속 지원하는 등 설비용량 기준 약 5배, 발전량 기준 약 4배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고리1호기의 계속운전 여부와 관련해서는 10일 원자력발전전문위원회와 12일 에너지위원회 논의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18일 이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포스트 2020’과 연계해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최대한의 조치”라며 “우선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수요관리목표보다 훨씬 높은 수요관리목표(전력소비량기준 14.3%, 최대전력기준 12%)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부터는 에너지·전력 및 경제 전문가뿐만 아니라 환경분야와 시민단체 추천 위원들이 새롭게 참여해 전력수급안정 외에도 환경보호·수용성 등 다양한 가치를 고려했다”면서 “9일 사업자설명회 이후 신규원전에 대한 공식 건설의향을 제출받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공청회, 국회 상임위 보고 등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 전력정책심의회를 거쳐 최종안을 이달말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