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이번주중 후임 총리 인선…법조계 인사 유력

2015-05-19 15:39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이완구 전 국무총리 사퇴 이후 총리 공백 상태가 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금주 중으로 새 총리 후보자를 지명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새 총리 후보군에 대한 검증 작업을 마무리하고 마지막 결심만 남겨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총리 인선 발표는 금주 중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내달 중순께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예정돼 있는 만큼 총리 인선을 미룰 상황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이르면 20일쯤 새 총리 후보자를 전격 발표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당장 인선을 하더라도 인사청문회와 국회 임명동의안 처리 등을 감안해도 2~3주 후에나 취임이 가능해 총리 공백 상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새 총리 후보로는 법조계 인사가 가장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성완종 리스트' 파문 이후 고강도 정치개혁에 대한 의지를 강조해온만큼 정치개혁 과제를 구현할 수 있는 법조계 인사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청와대는 도덕성과 정치·사회 개혁, 인사청문회 통과 등을 후임 총리 인선의 최우선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거론된 법조계 출신 후보군은 이명재 대통령 민정특보와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조무제 전 대법관,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등이다. 또한, 현직 각료 중에선 황찬현 감사원장과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후보군에 포함된다.

하지만, 이 중 이명재 대통령 민정특보와 조무제 전 대법관, 김영란 전 위원장 등 일부 인사들은 총리직 제의를 고사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여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이명박 정부 때 ' 역대 명재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김황식 전 총리와 같은 '관리형 총리'를 원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왔다.

이처럼 여권 안팎에서는 법조계 출신 인사 발탁설이 유력하게 거론되지만, 황우여 사회부총리, 최경환 경제부총리,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 등 정치인 인사의 발탁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함께 나온다.

다만, 이들이 내년 4월 총선 출마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다는 점은 총리 인선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한 달 가까이 장고를 거듭한 만큼 전혀 새로운 인물이 깜짝 발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야당에서도 점차 길어지고 있는 총리 공백 사태를 우려하며 국민통합을 위한 총리를 발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19일 후임 총리 인선과 관련 “이번 총리만큼은 수첩을 넘어서 국민통합형 총리로 인선하시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문 대표는 "지금 대한민국은 행정 각 부를 통할하는 국무총리의 부재가 장기간 지속되는 비정상의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도 총리가 있을 때나 없을 때나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며 "국무총리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정부, 심각한 헌정붕괴, 법치붕괴"라고 꼬집었다.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이날 당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대통령은 여권에 마땅한 인물이 없으면 진영을 뛰어 넘어 야권과 시민사회에서 찾아보는 발상의 전환도 고려해 보라"면서 “예컨대 정계를 은퇴한 손학규 전 상임고문을 야권 동의 하에 삼고초려해 책임총리의 실권을 준다면 이 나라의 통합과 안정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