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新대륙 '인도땅' 노리는 中企들…정부 지원책은?
2015-05-15 07:54
모디 총리 방한으로 떠오르는‘Make in India’
중소기업 진출 가속화…민관 차원의 경제협력 뒷심 요구
중소기업 진출 가속화…민관 차원의 경제협력 뒷심 요구
14일 정부와 재계 등에 따르면 오는 18일 모디 인도 총리 방한을 앞두고 한·인도 경제협력확대에 대한 각종 핑크빛 전망은 신대륙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수두룩하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인도의 성장률을 7.5%로 전망하는 등 ‘떠오르는 인도’로 관심이 반영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포스코경영연구원이 모디정부 출범 1년의 성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보면 산업환경 개선의 지연 등 중소기업들에게는 여전히 혹독한 땅으로 분류된다.
90년대 중반부터 삼성·LG·현대 등 일부 국내 대기업들이 진출해 인도 사업의 성과를 이뤘지만 동시에 진출한 중기들은 인건비·노무관리·합작파트너·수익성 문제 등 이미 철수한 기업이 많다.
현 시점에서 인도를 주목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중국 경제성장률을 넘어선 인도의 핑크빛 전망 때문이다. 그러나 기준 시점 변경에 따른 상향조정 결과로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현재의 경제적 성과 지표는 유가하락·작황호조 등 우호적인 변수의 영향 탓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계산이다.
복병의 또 다른 전망은 미국이 올해 말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인도에 상당한 여파가 미친다는 점이다. 인도의 부채 비율이 국내총생산(GDP)의 90% 이상이고 만성적인 경상 및 재정수지도 적자로 기관투자는 급격히 유출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아울러 악명높은 인도 정부의 비합리적인 과세 정책 변경도 외국 기업을 떠나게 하는 부분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임정성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인도 사업 경험과 노하우가 그동안 축적된 만큼 ‘묻지마식’ 진출보다는 업종·지역·진입방식을 세분화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단독·신설투자 중심에서 합작 및 M&A(인수합병) 방식 활용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도 한·인도 민관 중소기업 협력센터, 인도 창조경제혁신센터 설립, 한·인도 공동펀드 조성 등 다각적인 중기협력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KIEP 측은 “양국 정부는 중소기업 지원정책 역량과 민간 기업단체의 역량을 결합시킨 가칭 ‘한·인도 민관 중소기업 협력센터’를 양국에 설립해야한다”면서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창조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인도 진출확대를 위한 혁신 아젠다를 발굴하고 관계 기관과 연계해 중소·중견 기업의 인도 내 성장 사다리 역할을 하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현지에 설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