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 총리실 업무보고에서도 ‘성완종 메모 파문’ 부각

2015-04-10 17:58

아주경제 조문식 기자 = 국회 정무위원회의 10일 국무조정실·국가보훈처·국민권익위에 대한 업무보고에서는 이른바 ‘성완종 메모 파문’이 부각됐다.

야당 의원들은 검찰 수사를 받다가 전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남긴 메모에 이완구 국무총리가 거명된 것 등을 놓고 국무조정실을 상대로 한 질의에서 이 총리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등 강공을 펼쳤다. 반면 여당 의원들은 이번 사태가 여권에 악재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식한 듯 말을 아꼈다.

민병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 총리는 (메모에) 액수가 표기돼 있지는 않지만 이름이 기재돼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진실을 공개하지 않고는 ‘부정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한 총리가 도덕적 권위를 가질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이 총리는 성 전 의원과 과거 어떤 관계인지, 재판과 관련해 과거 원내대표 시절 접촉이 있었는지 진상을 모두 공개하고 국민이 믿을 수 있게끔 통화기록 같은 것도 공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은 “검찰에서 법과 원칙, 필요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리라 생각한다”면서도 “이름 석자가 있다고 해서 그것을 다른 이야기로 미리 상상력을 섣불리 발휘한다든가 하는 이런 부분은 일반인 입장에서 신중히 가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대한민국 국회 [조문식 기자 cho@]



민 의원이 “상상력으로 발전되지 않게 총리가 스스로 공개하는 것이 낫지 않느냐는 이야기”라고 하자 추 실장은 “이름 석자가 나온다고 해서 이야기를 번져서 하는 것이 이 시점에 적절한지…”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같은 당 김기식 의원은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 국무조정실장이 ‘단지 이름이 나왔다는 이유’ 이런 표현을 쓰는 건 적절치 않다”고 힘을 보탰다.

이어 “경남기업이 이명박·박근혜정부 기간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졸업한 것, 그 과정의 금융권 대출 문제는 어차피 6월에 국정감사가 실시되면 정무위 차원에서 다뤄질 사안”이라며 “현직 총리가 성 전 회장 바로 옆 지역구라 그 메모로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무위는 성 전 회장이 국회의원 시절 2년간 활동해 온 상임위인 만큼 일부 야당 의원들은 과거 동료 의원의 죽음에 안타까움을 표했고, 이번 일로 검찰의 자원외교 비리 수사가 중단돼선 안 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