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부족국가’ 북한, 국제사회 지원은 계속 줄어…"북핵이 걸림돌"

2015-04-10 10:39

▲ 의사가  뼈만 앙상하게 남은 북한 어린이의 살가죽을 들어올리고 있다. [사진= 유튜브]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북한에서 식량난으로 생명이 위태로울 만큼 심각한 영양실조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은 해마다 뚝뚝 줄어들고 있다.

9일(현지시간) 유엔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전체 인구 2462만명 가운데 70%가(1800만명)이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식량이나 영양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북한 내 보건·의료 상태도 열악한 상황이다. 전체 인구의 약 25%는 기본적인 질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백신 등 기초적인 의료 지원마저 혜택을 못 받고 있다. 2012년 기준 북한의 5세 이하 어린이 가운데 27.9%는 만성 영양실조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 700만명은 깨끗한 음용수마저 공급받지 못해 각종 질병에 노출됐다. 주로 풍수해, 가뭄과 기근, 잘못된 식량정책 등에 따른 것으로 유엔은 파악하고 있다.

북한에 상주하는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관 굴람 이사카이는 최근 ‘미국의 소리(VOA)’ 방송에서 “어린이,노인,임신부 등 200만명이 극심한 식량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35만명에 달하는 임산부와 신생아들은 기본적인 의료지원을 받지 못해 심각한 산후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은 북한의 식량난과 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개년 계획을 세웠으나 국제사회의 지원은 해마다 줄고 있다.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규모는 2004년 3억달러(약 3200억원)에서 2014년 5000만달러(약 540억원)으로 급격하게 축소됐다.

국제사회의 북한 지원이 어려워지는 이유에 대해 굴람 이사카이는 “국제사회의 북한 제재가 인도주의적 지원까지 금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북핵문제를 둘러싼 북한과의 금융거래 차단 때문에 자금 지원 통로가 막혔다”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북한의 잇단 핵무기 개발 의혹이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꺼리는 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북한은 1990년대 대기근으로 사망자 100만여 명이 발생한 후 국제사회의 긴급 지원으로 식량 사정이 다소 나아지기는 했지만, 농지·종자·연료·비료 부족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근본적으로 좋아지지 않았다.

필요 식량의 상당 부분을 국제사회의 지원에 의존해야 하는 북한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에 의해 식량부족국가로 지정됐다. 유엔은 “올해 북한에 대한 인도적 원조를 위해 긴급 자금 1억1100만달러(약 1210억원)이 필요하다”며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낙관하기는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