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K-뷰티' 선봉장이 일본산 원료?

2015-04-10 15:13

"나고야 의정서가 뭔데요? 관련 연구조직이  갖춰질리가 없죠. 생산도 거의 외주로 주는데..." 국내의 한 유명 화장품 업체 직원에게 나고야 의정서에 대해 알고 있냐고 물으니 돌아온 대답이다.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된 지 벌써 6개월이 지났다. 하지만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는 이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조차 모르는 곳이 많다.

나고야의정서는 동식물 및 미생들 등 각 국가의 생물자원을 이용해 발생한 이익을 공정하게 나누자는 내용의 국가 간 협약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자원을 제공하는 나라의 유전자원을 활용해 화장품을 제조, 판매할 경우 이익의 일부를 원료 제공국에 나눠줘야 한다.


화장품 원료의 9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화장품 업계엔 치명타다. 가입국이 늘어나 자원전쟁에 돌입하면 원료 제공국의 해외식물자원 접근 제한권은 물론 원료비가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다. 

문제는 국내 화장품 업체 가운데 나고야의정서를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고 있는 곳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국내 업체들이 원료 사용으로 보내는 해외 로열티만 연간 1조 5000억원에 이르는데 국가의 생물자원 연구지원 및 시설은 미비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아모레퍼시픽만 고군분투하고 있다.

최근 흥행에 성공한 북해도 마유크림, 사해소금크림, 뉴질랜드 산양 원유로 만든 화장품 등은 나고야의정서가 본격시행되면 모두 로열티를 지급해야 한다. 
향후 원료 제공국이 나고야의정서에 대한 입법을 마련하고, 사용국에 본격적으로 제재를 가하면 로열티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다. 생물자원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독특한 원료에 집착하는 국내 업계가 정작 원료 제조에 대한 연구·투자에는 인색하다. K-뷰티를 이끌고 있는 대다수의 화장품이 국내 생산 원료가 아닌 해외 생물자원에 의존하고 있다는 현실이 이를 방증한다. 

한 브랜드 관계자는 "국내 화장품 업계가 사실상 유통업체인 브랜드숍 중심으로 성장하다보니 화장품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 및 원료연구에 대한 투자 여건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브랜드숍이 지금의 '저성장 늪'에 빠진 이유도 꾸준한 연구 없이 저가 위주의 획일화된 제품으로 일관한 탓이다. 아직 늦지 않았다. 선즉제인(先則制人)이라고 했다. 먼저 일어서면 이기고, 나중에 일어서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