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독도정책관실, 16일…발족 10주년 맞아

2015-03-15 15:15
‘우리는 독도수호 전위대’

지난 2013년 4월 14일 글로벌 독도 홍보대사 발대식.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가 일본의 독도 도발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출범시킨 독도정책관실이 16일 발족 10주년을 맞이한다.

경북도 독도정책관실은 일본 시마네현이 1905년에 자행한 독도 불법편입 100년을 맞아 지난 2005년 3월 16일 소위 ‘죽도의 날’ 조례를 제정하자 이에 일본의 독도 도발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독도 전담요원 4명으로 ‘독도지킴이팀’을 구성하면서 시작됐다.

독도정책관실은 그 이후 10년 동안 일본의 집요하고도 지속적인 독도 공세에 맞서 영토수호의 중심축으로서 의연하고도 실효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독도정책관실은 지난해 7월 민선 6기 김관용 도지사의 취임식을 독도에서 치를 만큼 독도가 우리 생활권역 속의 섬으로 확고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했다. 지난 10년간 독도에 사람이 사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섬을 만들기 위해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독도주민을 지원하는 등 영토대책사업을 추진했다.

독도 서도에 1997년 어업인숙소를 건립한 이후 운영을 지원하고, 독도평화호를 건조해 운항함으로써 국제법상 유인도인 독도의 지위를 공고히하는 데 기여했다.

2006년 10월 ‘경상북도 독도거주 민간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독도 정주주민에 대한 생계비를 지원하는 한편, 2013년 5월 독도 1호 사업자 김성도 씨 부부가 ‘독도사랑카페’를 개설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길을 텄다.

독도 영토대책사업의 일환으로 2010년 3월 울릉도·독도 DMB 방송 개통식 및 서비스를 시작하고 독도박물관 및 안용복기념관 운영 지원을 하고 있으며, 독도입도지원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2009년 3월에는 민간 차원의 독도 영토주권 강화 사업을 위해 지역경제, 문화, 종교, 언론계, 단체 등이 참여한 독도재단을 발족시켜 국내외에서 활발한 독도수호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010년 11월부터 독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독도명예주민증제도를 시행했다. 김관용 도지사를 시작으로 2014년 말까지 1만7132명(외국인 30개국 211명 포함)에게 발급해 범국민 독도사랑운동 확산에 기여했다.

독도 영토주권 강화를 위한 광역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독도방파제 건설, 울릉일주도로 건설, 울릉 사동항 2단계 개발, 울릉공항 건설, 국립 울릉도·독도 생태연구센터 건립,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자라나는 2세들에게 독도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의미를 재미있고 쉽게 전달하기 위해 10억여원을 들여 3D기반 캐릭터를 개발해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야심찬 계획도 진행하고 있다.

이상욱 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도는 일본의 어떠한 도발에도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 아래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정부가 직접 시행하기 어려운 독도관리, 주민 지원, 민간차원의 대응 등 중앙정부에서 할 수 없는 부분의 역할을 경상북도와 독도재단이 함께 보완하고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