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기증' 따오기 아빠 된다…첫 산란 성공

2015-03-08 13:48
첫 산란 성공 진수이·포롱이 커플 이어 바이스·우포13 부화 기대


아주경제 정하균 기자= 2013년 12월 중국에서 한국으로 장가 온 수컷 따오기가 2년 만에 아빠가 된다.

경남도는 수컷 따오기 '바이스(白石)'와 암컷 따오기 '우포-13'이 지난 6일 오후 6시 15분 창녕군 우포따오기 복원센터에서 첫 산란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바이스는 '진수이(金水)'와 함께 2013년 6월 한·중 정상회담 때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체결한 '따오기 보호·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국내에 왔다. 시 주석이 기증한 따오기 가운데 수컷 진수이가 암컷 포롱이와 낳은 첫 번째 알은 지난해 4월 1일 부화에 성공했다

경남도는 현재 전국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 추세지만 진수이에 이어 바이스 부부가 건강하게 첫 산란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산란한 따오기 알은 유정란일 경우 약 30일간의 부화기간이 필요하다. 

허호승 경남도 환경산림국장은 "AI 확산 추세 속에 방역에 온 힘을 다해 다른 따오기 부부들도 무사히 산란할 수 있도록 하고 올해 상반기에 따오기 야생방사장을 완공해 야생적응 훈련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복원센터가 키우는 '우포 따오기'는 2008년 중국에서 1쌍이 처음 들어온 이후 25마리까지 증식했다. 복원센터는 암수 성비 불균형에다 일부일처제를 고집하는 따오기 특성 때문에 2013년 '바이스'를 포함한 수컷 2마리를 추가로 도입했다.

현재 복원센터의 따오기 개체 수는 수컷 24마리, 암컷 32마리로 모두 56마리다. 세계적 희귀조류인 따오기는 현재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340여 마리, 중국 산시성(陝西省)에 2600여 마리가 인공사육 및 야생 방사 형태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도는 올해 하반기에 따오기 일부를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2017년까지 개체 수를 100마리 이상으로 늘려 우포늪에 방사할 계획이다.